Starnews

화제작 '바람의 화원', 20% 못넘는 이유

발행:
김지연 기자
SBS '바람의 화원'의 문근영(왼쪽)과 박신양
SBS '바람의 화원'의 문근영(왼쪽)과 박신양


지난달 24일 11.6%(TNS, 이하 동일기준)로 첫 테이프를 끊은 SBS '바람의 화원'이 연일 10%대 초중반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당초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20% 시청률은 무난히 돌파할 것이라던 방송가 관계자들의 예상을 깨고 방송 중반을 기록한 현재 16.1%의 자체 최고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사실 '바람의 화원'은 9월24일 방송 시작과 함께 큰 화제를 모았다.


이는 배우 문근영이 지난 2003년 KBS 2TV '아내' 이후 5년 만에 안방극장에 복귀했으며, 지난해 시청률 40%를 넘기며 대박을 낸 SBS '쩐의 전쟁'의 박신양과 장태유 PD가 호흡을 맞췄기 때문이다.


방송가 안팎의 관심이 클 수밖에 없다. 그런데 웬일인가. 11.6%로 시작한 시청률은 9월25일 12.6%, 지난 1일 10.7%, 2일 11.7%, 8일 12.7%, 9일 12.1% 등 줄곧 10%대 초반에 머물렀다.


특히 문근영이 김홍도 역의 박신양과 다리 밑에서 티격태격하는 장면을 찍다 박신양의 팔꿈치에 맞아 코뼈가 골절돼 촬영이 중단, 드라마 방송 사상 이례적으로 방송 중 '스페셜'을 방송했던 16일에는 급기야 9.6%의 한 자릿수 시청률을 기록했다.


이처럼 톱배우와 스타PD가 만났음에도 불구하고 '바람의 화원'이 좀처럼 탄력을 받지 못한 이유는 그림이라는 소재가 갖는 태생적 한계와 시청자들의 시선을 끌 만한 러브라인 및 극적 스토리가 미약하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드라마 PD는 29일 "'바람의 화원'의 가장 큰 문제는 드라마틱하지 않다는 점이다. 또 극적인 긴장감이 떨어지고 대중성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PD는 "드라마가 성공하려면 극적인 구도를 잘 살려야 하는데 '바람의 화원'은 그러지 못하고 있다. 가령 정조와 정순왕후의 대결구도와 그 사이에 낀 김홍도의 내적갈등 등이 긴박감 있게 그려져야 하는데 '바람의 화원'은 미술사적인 접근만 하고 있다"며 "이런 점이 '바람의 화원'을 대중드라마가 아닌 마니아드라마로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 PD의 말처럼 '바람의 화원'은 방송 시작과 함께 뛰어난 영상미가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20부작이라는 긴 호흡을 끌고 가기 위해서는 영상미를 뛰어넘는 흡입력 있는 극적 긴장감이 필요하다.


다행히 줄곧 10%대 초반의 시청률이던 '바람의 화원'이 지난 23일 16.1%를 기록, 방송 후 처음으로 15%대 벽을 넘으며 상승의 기회를 잡았다. 29일 방송될 9회분가 이 상승기류가 지속될 것인지 가늠하는 잣대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이영애, 안방극장 복귀
'크라임씬 제로'에 다시 모인 레전드 플레이어
'달까지 가자!'
정규편성으로 돌아온 '서장훈의 이웃집 백만장자'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방시혁, '1900억 부당이득 의혹' 경찰 조사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김하성, 1억 달러 대박 '꿈 아니다'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