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일문일답②]비 "수익배분, 5대5로 낮춰"

발행:
마카오=김동하 김건우 기자
-마카오 현지 단독인터뷰- "적자구조, 나도 이해 안 가...흑자낼 것"
↑가수 비가 마카오 현지에서 드라마 '도망자'를 찍던 도중 휴식을 취하고 있다.
↑가수 비가 마카오 현지에서 드라마 '도망자'를 찍던 도중 휴식을 취하고 있다.

<①편에 이어>


-당시 공시를 보면 보유 목적이 '경영권 행사'라고 돼 있다.


▶'경영권'의 의미는 시장에서 해석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는 것 같다. 내가 어떤 작품을 하고 싶다는 정도 의견은 밝힐 수 있지 않나. 그 외에는 절대적으로 경영에 참여한 적이 없다. 그런 공시가 있었다는 것도 이번에 처음 알았다. 경영권 참여라는 것은 중심에서 벗어난 지적인 것 같다. 나는 내 일로만 경영에 참여했다.

-더 많은 금액을 제시한 곳도 있었다면 왜 제이튠엔터를 택했나. 결국은 코스닥 상장사를 통해 이익을 얻으려는 생각 때문 아니었나.


▶수백억원의 계약금을 제시한 곳도 있었지만 좋은 사람들과 함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게 중요했다. 마음 편히 연예에만 종사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고, 그건 지금도 진행형이다. 365일 동안 열심히 일하고 7:3의 비율로 회사에 이익을 주려고 했다. 하지만 어떻게 해도 오해만 쌓이는 게 힘들었다.


-문제는 {제이튠엔터}가 늘 적자였다는 거다. 매출액보다 매출원가가 많아 활동을 많이 하면 할수록 적자폭이 커졌는데


▶왜 매출원가가 더 많은지는 나도 이해가 안 된다. 미국에 처음 진출했을 때 단칸방에서 지냈다. 일부에서는 미국 체류 비용을 소속사에서 전부 부담한 게 아니냐고 하지만 대부분 제작사나 투자사에서 썼고, 우리는 거의 돈 쓸 일이 없었다. 쓴 돈이 별로 없는데, 적자가 나는 부분은 나도 이해할 수가 없다. 매출원가 구조에 대해서는 솔직히 잘 모른다. 명쾌한 대답을 드리기 힘들 것 같다.


-제이튠(전 세이텍) 지분인수 당시 유상증자 납입과 지분 매입에 들어간 47억원은 본인 돈이었나. 납입 직후 계약금 150억원을 받았으니 결국은 돈이 들지 않은 거 아닌가.


▶그 동안 내가 번 돈으로 투자했다. 내가 계약금을 받아서 냈다는 얘기도 하지만, 전속계약은 상장 후에 이뤄졌다(*유상증자는 2007년 9월, 전속계약은 10월에 이뤄졌다). 떳떳하게 내가 일해 벌어 놓은 돈이었다.


-제이튠엔터는 매출처가 최대주주인 비 1명뿐이었다. 비에게 거액을 주고 회사가 적자에 허덕이니 주가하락은 불 보듯 뻔하지 않았는가


▶오히려 경영진들에게 왜 다른 사업에 투자하지 않느냐고 물어 봤다. 언젠가 좋은 사업이 생기면 투자할 것이라고 답하더라. 의류사업을 한다고 했을 때도 너무나 반가웠다. 나에게만 의존하는 사업구조가 부담스러웠다.


-비를 믿고 제이튠엔터에 투자했다가 손실을 본 사람들이 많다. 소액주주들의 입장에서 고민하고 있는 내용이 있는지.


▶제이튠과 수익 배분 구조를 7:3에서 5대5로 변경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분기부터 흑자전환이 가능할 거라고 한다. 5대5 계약은 신인 수준의 전속 계약이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300만 앞둔 '귀멸의 칼날 : 무한성편' 日 성우 내한
진선규 '시크한 매력'
'13회 부코페 개막합니다'
'살인자 리포트, 믿고 보세요'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10주년 AAA 2025' 최정상 아티스트 한자리에!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홍명보호 악재' 황인범 부상, 9월 A매치 불참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