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상호 표 초자연스릴러 '괴이'가 돌아왔다.
22일 오후 티빙 오리지널 '괴이' 제작 발표회가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이날 제작 발표회에는 장건재 감독, 연상호 작가, 류용재 작가, 구교환, 신현빈, 김지영,곽동연이 참석했다.
'괴이'는 저주받은 불상이 나타난 마을에서 마음속 지옥을 보게 된 사람들과, 그 마을의 괴이한 사건을 쫓는 초자연 스릴러다. 미스터리한 귀불이 깨어나 재앙에 휩쓸린 사람들의 혼돈과 공포, 기이한 저주의 실체를 추적하는 과정이 독창적인 세계관 위에서 흥미롭게 펼쳐진다.
구교환은 "집에서 침대에 누워서 연상호 감독님을 그리워하던 도중에 연락이 왔다. 그리고 장건재 감독님의 무드와 근사한 분위기가 궁금했다. 그리고 제가 껴달라고 해야할 것 같은 캐스팅이라 기분 좋게 출연을 결심하게 됐다"고 전했다.
신현빈은 "'괴이'라는 작품이 있고 설명을 들으니 '이 조합 재미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저도 '너무 들어가고 싶다. 안에서 함께 하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했다"고 덧붙였다.
김지영 또한 "다들 바래왔던 그림이었다. 또 제가 고고학 전공이라 초자연적인 현상에 관심이 많다. 엄마다 보니 그런 상황에서 조차 자식을 구하고 싶어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싶었다. 목말랐던 작품이었는데 적시에 들어왔다"고 말했다.
곽동연은 "조합을 보니 '묻어가기 딱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만히만 있어도 제 몫을 한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큰 고민하고 출연하고 싶다고 아우성을 쳤다"라고 너스레를 떨었다.
연상호 작가는 "처음에 멜로물을 쓰고 싶었다. 더이상 끔직한 것 말고 부부애가 담긴 멜로를 쓰려고 했다. 극복할 수 없는 사랑이라는 설정을 두고 심심해서 약간 오컬트 적인 요소를 넣다보니 전에 하던 것과 별 차이가 없게 됐다. 지금도 ''괴이한 멜로'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류용재 작가는 "'괴이'만의 매력은 귀불이라는 존재가 굉장히 큰 매력일 것 같다. 귀불의 눈을 보면 마음 속의 지옥을 보면서 각 인물들이 어떤 지옥을 보는지가 관전포인트 일 것 같다. 기존 스릴러가 개인, 집안, 가문의 저주를 푸는 과정이라면 '괴이'는 큰 공간안에 있는 사람이 영향을 받게되면서 기존의 오컬스 스릴러와는 다르게 재난 오락물의 형태가 합쳐진 것 아닌가 싶다"라고 소개했다.
장건재 감독은 "'괴이'의 대본을 받고 왜 나에게 왔을까 고민했다. 들여다보니 작품안에 가족 드라마, 멜로 드라마 라인이 중요하게 존재하면서 이야기 전체를 미스터리하게 만드는 장치들이 있었다. 연상호 작가의 앞선 작업물과는 다른 느낌이 있어 도전해보고 싶었다. 이야기들이 떠 있지 않도록 배우들이 납득할 수 있도록 연출자로서 다리를 놓고 싶었다. 장르적인 힘이 강한 서사가 있어서 그걸 믿는 것도 연출자로서 중요했다. 인물들의 관계를 큰 사건안에서 놓치지 않고 보여줄 것인가도 숙제였던 것 같다"고 말했다.
초자연 현상을 연구하는 정기훈 역할을 맡은 구교환은 "정기훈 박사의 매력은 한가지를 오랫동안 사랑했다는 점이다. 또 그걸 발전시켜 유튜버가 된 지점도 멋있었다. 저도 한 가지를 오랫동안 사랑하고 연구한 경험이 있으니 그것을 생각하면서 연기했다.
끔찍한 재앙을 맞딱드린 천재 문양 해독가 이수진 신현빈은 "기훈과 결혼해서 아이를 낳고 잘 살다가 불행한 사건이 닥쳐오고 그로 인해 아이를 잃은 것을 넘어 자신을 잃어버린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극 전반에 나오는 수진의 모습은 진짜 수진의 모습이 아니지 않을까 생각했다. 실제로 경험해보지 못한 상황이라 어려우면서 새로웠다. 수진이 입장에서는 잃어버린 자기 자신을 찾아가는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준비했다.
강인한 파출소장 한석희 역을 맡은 김지영은 "한석희는 진양군 파출 소장이지만 마을 사건이나 범죄보다 사춘기 아들이 더 무서운 엄마다. 제가 표현해내고자 하는 것은 오랫동안 경찰을 했음에도 생활인으로서의 경찰을 표현하려고 했다.
진양군의 트러블메이커 곽용주로 분한 곽동연은 "용주라는 인물이 극 중에서 재난에 가까운 상황을 맞이하고 나서 내면에 갖고 있던 극도의 폭력성, 반항심을 마음껏 휘두른다. 그러다 마을 공동체 모두를 위협한다. 그런 모습들이 계산된 연기로 보여지기 보다는 이 사람이 즉흥적으로 보여지기를 원했다. 박호산, 남다름과 물리적으로 부딪하는 장면도 많아 다치지 않게 조심했다"라고 설명했다.
연상호 작가는 "'부산행'에서 좀비 바이러스가 처음 나타난 곳이 진양군이다. 어두운 일이 일어나는 장소는 무조건 진양으로 쓰고 있는데 진양군이 진짜 있으면 좋겠다. 또 '어우야담'을 보면 귀불을 봉인했는데 안 좋은 일이 생겨 또 봉인을 하고 세 번째 귀불을 세우고 나서야 '귀불이 떠났다'는 말을 한다. '방법'의 귀불과 '괴이'의 귀불까지 두 개의 귀불이 존재한다는 설정을 스치듯이 해봤다"라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출연진과 제작진은 '괴이'를 한 단어로 표현해달라는 말에 '눈싸움' '마음' '관심' '혼돈' '사념' '깜놀' '파괴와 복원'이라고 말해 기대감을 높였다.
한편, '괴이'는 오는 29일 공개된다.
이덕행 기자 dukhaeng1@mtstarnews.com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