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병원 홍준화 교수, 아시아 심근절제술 연구회 발족

발행:
채준 기자
/사진제공=중앙대병원
/사진제공=중앙대병원

중앙대학교병원 흉부외과 홍준화 교수가 아시아의 비후성심근증 수술 석학들의 연구 모임인 ‘아시아 심근절제술 연구회’ 창단 멤버가 되었다.


홍준화 교수는 일본 사카키바라병원 타카나시(高梨秀一郎) 교수, 중국 후와이병원 왕수운(王水云) 교수와 함께 지난 10월 19일에서 20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도쿄비후성심근증포럼’에서 ‘비후성심근증 심근절제술’의 세계적 대가인 미국 메이요클리닉 흉부외과 샤프(Dr. Hartzell V. Schaff) 교수를 모시고 아시아 비후성심근증 수술 발전을 위한 ‘아시아 심근절제술 연구회’를 발족했다.


‘비후성심근증’은 선천적으로 심장 근육이 지나치게 두꺼워 심장의 기능을 방해하는 병으로, 심장에 피가 뿜어져 나가는 출구가 두꺼워진 근육으로 막혀 혈액이 제대로 뿜어져 나가지 못하게 되어 호흡곤란, 가슴통증, 어지러움, 실신 또는 심한 경우 사망에까지 이르게 되는데, 과거 국내에서 근본적인 치료가 어려웠다.


이런 가운데, 홍준화 교수는 2007년 미국 메이요클리닉의 펠로우로 근무하면서 비후성심근증 수술 분야의 세계적 대가인 메이요클리닉 흉부외과의 샤프(Dr. Hartzell V. Schaff) 교수팀에 한국인 최초로 합류하여 비후성심근증 수술에 참여해 경험을 쌓았다.


이후, 홍 교수는 2009년부터 중앙대병원에서 근무하면서 병원 비후성심근증 클리닉팀(흉부외과 홍준화, 순환기내과 조익성, 영상의학과 차민재 교수)과 함께 비후성심근증 치료의 불모지였던 우리나라에서 심근절제수술을 포함한 치료와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여 근본적인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많은 비후성심근증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해오고 있다.


중앙대병원 흉부외과 홍준화 교수는 “이번 아시아 심근절제술 연구회 발족으로 인해 아시아 비후성심근증 환자에 맞는 수술적 치료 방법을 연구하고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고통과 위험 속에 살고 있는 비후성심근증 환자의 근본적이고 적극적인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아크 '완벽한 컴백 무대'
이프아이, R U OK?
새롭게 시작하는 '보이즈 2 플래닛'
차은우 '아쉬운 인사'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웰컴 25호"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KBO 전반기 시청률, 톱11 중 10경기가 '한화'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