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립선 비대증 수술은 소변이 나오는 길을 막고 있는 전립선의 크기를 줄이는 수술이다.
개복을 하는 방법도 있지만, 요즘은 대부분 내시경을 통해 요도로 진입하여 전립선을 안쪽부터 잘라내고 지혈을 하는 방법으로 시행된다.
수술의 방법은 어떻게 절제를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어떤 방법이 무조건 좋다고 단정 짓기 보다는, 결국엔 전립선의 크기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느냐가 수술의 결과를 결정짓게 된다.
이전부터 많은 방법들이 소개되어 왔지만, 효과가 떨어지는 방법은 잠시 유행처럼 시행되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 많이 사용하는 수술법은 전기 루프를 이용하는 방법과 홀뮴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전기 루프를 이용하는 방법은 가장 전통적인 수술법으로, 그동안 여러가지 방법들이 소개가 되어왔지만, 학계에서는 아직까지도 가장 효과적인 수술로 인정되고 있다. 내시경을 보며 전립선을 반원형 루프로 조각하듯이 잘라내어 전립선 조직을 제거한다. 전통적이고 오래 된 수술이라서 구식이라고 생각 할 수 있으나, 수술하는 기계가 계속 개선이 되고, 내시경 카메라도 발달되어 수술하는 의사의 교육 수준이 높아져서, 출혈 등의 부작용이 이전보다 아주 많이 줄어든 상태다.
홀뮴레이저를 이용하는 수술은 레이저 광선으로 전립선을 잘라내는 방법인데, 전기 루프와는 다르게, 레이저로 전립선의 선종 부분과 변연부위 경계를 절개하여, 선종을 조각 내지 않고 그대로 들어내어 제거하는 방법이다. 전기 루프 이후 소개된 여러 수술법 중 효과가 충분하게 인정되어 자리를 잡은 수술법이다.
현재 대학병원에서는 위 두 가지 방법 외에 사용하는 전립선비대증 수술은 거의 없다. 그동안 여러 번 소개가 되어 왔던 방법들은 대부분 적은 부작용과 간단한 시술법임을 강조해 왔으나, 결국 제거가 되는 전립선의 양이 모자라 그 효과가 오래 가지 않았고, 처음 예상보다 시술 행위 수가 늘면서 부작용 또한 만만치 않게 발견되어, 결국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요즘 광고에 많이 나오는 전립선결찰술(유로리프트) 또한 시술이 간단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실제 그 자체로 효과가 있을 환자의 비율이 상당히 적고, 그 효과가 약해서 시술한 지 얼마 안 되어 제대로 된 수술을 해야 하는 일이 흔하며, 이물감이나 결석 등의 부작용 또한 만만치 않으므로 생각보다 간단하게 생각하면 안된다.
이영훈 일산 연세참비요의학과 원장은 "전립선 수술은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수술에 얼마나 숙련되어 있는가가 더 중요하다"며 "수술을 할 지 말지의 선택부터 누구에게 수술을 받을까까지 신중을 기하시길 당부드린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