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지난해 매출 142조·영업익 9.8조 '사상 최대' 기염

발행:
배병만 산업레저대기자
사진

현대차가 영업부문에서 고공행진을 보이고 있다.


현대자동차가 글로벌 경기침체 상황에서도 지난해 처음 연간 영업이익 9조 원대를 달성하며 역대 최대 실적 기록을 갈아치웠다.


현대차는 26일 '2022 4분기 경영실적 콘퍼런스콜'을 열고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1.2%, 47% 늘어난 142조 5,275억 원, 9조 8,197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2010년 새 회계기준(IFRS) 도입 이후 최대 실적으로 종전 기록은 2012년의 8조 4,406억 원이었다. 매출은 2021년 117조 6,106억원 에 이어 1년 만에 다시 최대 기록을 올린 것이다. 연 순이익은 전년보다 40.2% 증가한 7조 9,836억 원, 총 판매량(도매 판매 기준)은 394만 2,925대다.


지난해 4분기 실적은 ▲판매 103만 8,874대 ▲매출액 38조 5,236억 원(자동차 31조 5,854억 원, 금융 및 기타 6조 9,382억 원 ) ▲ 영업이익 3조 3,592억 원 ▲ 경상이익 2조 7,386억 원 ▲ 당기순이익 1조 7,099억 원(비지배지분 포함)으로 집계됐다.


4분기 판매량은 전년 동기보다 8.1% 증가한 수치다.


국내 시장에서는 작년 말 출시한 7세대 디 올 뉴 그랜저와 제네시스 라인업 등 고부가가치 차종 판매 호조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3% 증가한 19만 2,049대가 판매됐다.


해외에서는 부품 수급 개선에 따른 생산 증가,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6의 글로벌 본격 판매 등 친환경차 중심으로 양호한 실적을 올려 전년 동기보다 9.3% 늘어난 84만 6,825대가 팔렸다.


현대차는 이날 발표한 '2023년 연간 실적 가이던스'에서 글로벌 산업 수요와 생산 정상화 추세를 고려해 올해 도매 판매 목표를 전년보다 10% 증가한 432만 대로 정했다.


또 판매 물량 증가와 지속적인 평균 판매가격(ASP) 상승을 반영해 매출은 10.5~11.5%, 영업이익은 6.5~7.5% 끌어올릴 계획이다.


다만 현대차는 향후 가동률 개선에 따른 생산 확대를 기대하면서도 지정학적 리스크, 인플레이션 확대, 금리 인상에 따른 수요 위축 우려 등 요인으로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여러 경영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으나 가동률 개선에 따른 생산 정상화를 바탕으로 판매 물량 확대 및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 믹스 개선을 추진해 매출액 성장률 및 영업이익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이민호 '변치 않는 비주얼'
안효섭 '압도적인 매력'
아크 '완벽한 컴백 무대'
이프아이, R U OK?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연예인 걱정은 하는 게 아니라던데..★ 부동산 재테크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KBO 전반기 결산... 시청률 톱11 중 10경기가 '한화'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