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와 SK이노베이션이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설계 기업 테라파워와 차세대 SMR 사업을 추진한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 24일(현지시간) 김준 부회장과 황주호 한수원 사장, 크리스 르베크 테라파워 최고경영자(SEO)가 미국 워싱턴에서 '차세대 원전 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상호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SK㈜, SK이노베이션, 한수원은 테라파워가 개발 중인 소듐냉각고속로(SFR, Sodium-cooled Fast Reactor) 기반 4세대 SMR인 '나트륨(Natrium)' 상업화에 협력한다.
테라파워는 오는 2030년 완공을 목표로 미국 서부 와이오밍주에 345메가와트(MW)급 나트륨 실증 단지를 짓고 있다. 약 25만 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하는 실증 사업에는 미국 에너지부(DOE)가 기술 개발과 건설 비용의 절반에 가까운 약 20억달러(약 2조6000억원)을 지원했다.
테라파워는 버크셔 해서웨이의 전력 자회사인 퍼시피콥과 2033년까지 나트륨을 최대 5기 건설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도 진행 중이다.
SK와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8월 테라파워에 2억5000만달러(약 3000억원)를 공동 투자했으며 이번 계약으로 테라파워의 사업 개발을 함께하게 된다.
한수원은 차세대 SMR 분야에서 북미 입지를 확대할 발판을 마련했다. 이번 협약은 한수원이 4세대 SMR 기업과 맺은 첫 협력 관계다.
세계경제포럼(WEF)은 2040년까지 SMR 시장이 연평균 22%씩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영국 국가원자력연구원(NNL)은 2035년 SMR 시장규모가 약 최대 630조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김 부회장은 "SK와 한수원, 테라파워의 협력은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이 커지는 시기에 한미 원전 동맹을 강화하는 의미가 크다"며 "4세대 SMR 시장에서 이번 협력은 원자력 산업 생태계를 이끄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