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군방첩사령부(방첩사)가 8월 말 전격적으로 LIG넥스원을 압수수색한 것이 뒤늦게 확인됐다.
방첩사 측은 LIG넥스원 '정찰용 무인수상정 기밀유출'과 관련해 행동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번 압수수색은 확인 차원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압수수색은 해군의 정찰용 무인수상정(USV) 관련 이슈다. 방첩사는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불공정한 기밀 유출이 있었다는 의혹이 불거지자 LIG넥스원을 대상으로 강제수사에 나선 것이다.
이와 관련해 군 수사 당국으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검찰은 수사를 마무리하고 이달 중으로 기소할 것으로 알려졌다. 기소를 앞두고 수사의 마지막 단계로 LIG넥스원의 새로운 관계자의 혐의를 확인하려고 했다는 설이다. 이에 대해 방첩사는 말을 아끼고 있다.
앞서 방첩사는 해군사관학교 교수 출신 A대령이 '정찰용 무인수상정 운용개념' 관련 자료를 LIG넥스원에 넘긴 혐의를 잡았고 올 2월 군 검찰에 기소의견으로 송치했다.
지난 2018년 해군사관학교와 LIG는 '학술교류협정서'를 체결했다. 같은 해 A대령은 국방과학연구소(ADD) 산하기관 민군협력진흥원이 공모한 과제를 수행하며 LIG넥스원과 협업했다. 이 과제를 통해 개발된 LIG 무인수상정 시제품이 정찰용 USV 체계개발 사업의 사양을 선반영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됐다.
LIG넥스원에 부정적인 업계 관계자들은 '연구결과와 기술이 부당하게 유출돼 LIG가 문제지와 답안지를 동시에 들고 입찰에 응한 격'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방첩사는 지난해부터 A대령이 기술 보고서의 작성 과정에서 무인수상정 관련한 군 내부 자료를 유출해 LIG에 전달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했다. 조사결과 A대령은 기밀 유출 건으로 이미 송치되어 있다.
정찰용 무인수상정 사업은 해양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네이비 씨 고스트'의 일환으로 해군이 추진한 첫 무인수상정 발주 사업이다.
업계의 관심사는 이번 수사 결과가 향후 LIG넥스원의 무인수상정 사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인지다.
한 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 부정부패와 비윤리적인 범죄, 군 쪽에서는 스파이 활동, 기술 유출에 대해서 민감하게 반응했다. 이번 정부 들어 첫 번째 불거진 군 관련 사안이다"며 "업계가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 게다가 A대령이 수사를 받는 과정에서 어떤 발언을 했을지가 초미의 관심사다"고 밝혔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기밀 유출과 관련해 "수사가 진행 중인 사안이라 정확히 확인해 주기 어렵다"며 "정식 연구과제를 통한 결과물 관련 절차와 규정을 준수해 정상적으로 발송 및 접수절차를 거친 것"이라고 강조했다.
만약 LIG넥스원의 혐의가 수사로 입증된다면 수상무인정 사업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게 된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