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평론가 유지나 교수가 '부러진 화살'에 대해 "유쾌한 법정영화"라며 "영화는 허구고 100% 창작"이라고 강조했다.
MBC '100분 토론'은 지난달 31일 밤 생방송을 통해 2007년 판사 석궁테러 사건을 재조명한 영화 '부러진 화살'과 관련 ''부러진 화살', 과녁은?'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 토론자로 참석한 유지나 동국대 영화영상학과 교수는 2차례 '부러진 화살'을 봤다며 "앞서 (지난해) 부산영화제에서 사람들이 '부러진 화살'을 보고 흐뭇해했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법정 영화라는 장르가 자리를 잡는구나 했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도가니'가 그랬는데, 법정영화가 가슴이 아프기만 한 게 아니라 유쾌하기도 한 거다. 유쾌한 법정영화라 사람들이 좋아하겠다 생각했는데 사람들이 좋아하더라"라며 "법정영화라는 장르가 관객과 가깝게 다가가고 '100분 토론'에 나올 정도로 논란이 인다는 건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본다"고 전했다.
'부러진 화살'이 다른 재판의 증거들을 무시하고 피고인 측의 의견만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사건을 담당한 재판 당사자들이 엉뚱한 재판을 했다고 그린 것을 문제 삼은 반대편 패널들의 주장에 대해서는 "영화는 허구이며 창작"이라며 "다큐멘터리조차 허구이며 창작의 자유를 누린다"고 강조했다.
유 교수는 "흥행 돌풍을 일으키는 영화는 항상 잘 만든 영화다. 돈의 사이즈가 영화의 이미지를 결정하지 않는다"며 "만드는 사람의 자세, 같이하는 배우와 스태프. 만든 사람들이 안다. 진심, 진정성이라는 거다. 사실 관계는 그 다음이다"고 전했다.
그는 "표현의 자유가 있고 창작의 자유가 있다. 법조계에서 말씀하시는 것을 존중한다. 그런데 법정영화를 보면 양쪽 입장을 다루면 드라마가 형성이 잘 안된다"며 "영화는 보는 사람마다 뜻이 다르고 감독의 뜻대로 보는 것이 아니다. 저는 (영화를 보며) 김교수가 옳다고 생각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유 교수는 "사실을 토대로 했을 뿐 영화가 그린 것은 가상 법정이다. 허구다. 100% 창작이다"라며 "그 많은 법정 영화를 다 말할 수는 없지만 사실을 토대로 하지 않은 영화가 거의 없다. 모든 영화는 다 허구다"라고 덧붙였다.
2007년 판사 석궁테러 사건을 재조명한 영화 '부러진 화살'은 사법부를 비판적으로 묘사, 입소문 속에 흥행에 성공했다. 이에 법원이 이례적으로 "흥행을 염두에 둔 예술적 허구에 불과하다"며 공식적으로 유감 의견을 표명하고 나서 더 주목을 받았고, 영화는 200만 관객을 돌파하며 흥행에 순항중이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