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8:37', 거짓 믿음에 빠진 이들을 위한 영화①

발행:
이경호 기자
[리뷰] '로마서 8:37'
/사진=영화 포스터
/사진=영화 포스터


'로마서 8:37'(감독 신연식)은 성경의 로마서 중 8장 37절(그러나 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넉넉히 이기느리라)을 타이틀로 죄에 대해 이야기 하는 영화다.


전도사 기섭(이현호 분)은 어느 날 자신이 동경하는 부순 교회 목사 요섭(서동갑 분)으로부터 도와 달라는 요청을 받는다. 우상처럼 생각하는 요섭의 부탁에 자신이 무언가 할 일이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안고 간다.


기섭은 이 교회에서 청년부 활동까지 한 신실한 신도였다. 그러나 수년 만에 돌아온 교회는 요섭을 몰아내려는 세력과 이를 지키려는 세력의 충돌 중이었다. 기섭은 요섭의 자리를 지켜주기 위한 대응팀에 간사로 합류한다.


기섭은 요섭을 둘러싼 의혹들을 끊임없이 부정하고, 위기에 처한 그를 도와야 한다고 믿었다. 자신의 우상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믿음은 곧 의심에 빠지고 흔들리기 시작했다. 이단으로까지 내몰렸던 요섭이 성추행, 성폭행까지 자행했다는 추악한 진실을 알게 되자 자괴감에 빠지고 만다. 그리고 그는 감추려는 진실을 까발리려 나섰다.


그렇지만 요섭을 따르는 이들은 교회가 무너지는 것을 막고자 하는 이들에게 제지를 당하고 만다. 성경 말씀대로 살고자 했던 그는 끝없는 자괴감에 빠지고, 자신 역시 거짓 믿음으로 살고 있었다는 죄를 깨닫게 된다. 그리고 요섭은 하지 못했던 회개를 한다.


'로마서 8:37'은 기독교인에게는 불편할 수 있는 이야기다. '믿음'에 대한 의심을 들게 하고, 교회라는 곳 역시 깨끗하지 않다고 폭로한다. 여기에 교회를 지키려는 이들이 순수한 신앙심이 아닌, 이해타산으로 얽힌 모습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비기독교인 역시 신앙을 신념으로 대입하면 바로 그 신념이 틀릴 수 있다고 지적할 수 있어 불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시선을 돌려 영화를 바라보면 생각은 달라진다. '로마서 8:37'은 신연식 감독의 취재를 바탕으로 햇다. 목사의 성추문이나 장로들의 비리, 성도들의 거짓 믿음 등은 언론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이기도 하다. 이는 신실한 신앙이 토대가 아닌, 명예와 명성, 이익을 쫓는 일부 기독교인들의 모습이다. 거짓 믿음이 가져오는 죄를 꼬집는 것이다. 한국 교회, 기독교인들의 비리를 드러내는 것은 그저 바른 믿음을 가지고 있다는 이들이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하나의 도구일 뿐이다. 영화는 분명 목사를 우상처럼 여긴 이들이 거짓 믿음이란 죄로 인해 자신도 다치게 됐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덧붙이자면 '로마서 8:37'은 단순히 교회나 목사의 비리를 고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구로 쓰인 '고발성 소재'가 각종 비리로 얼룩져 종종 언론에 보도되는 교회의 이면에 대한 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생각하게 해준다. 신앙인이라고 자신하는 이들에게, 교회나 목사를 믿는 것인지 진짜 신앙을 지키려 하는 것인지를 돌아보게 한다.


'로마서 8:37'은 그렇다. 기독교인은 신앙, 비기독교인은 신념에 따라 자신이 모르는 어떤 죄를 지었는지 돌아보게 한다.


11월 16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 러닝타임 133분.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아이브 '파리에서 만나요!'
아이유 '빛나는 매력'
빅뱅 지드래곤 '손끝부터 시선집중'
변우석 '팬들에게 스윗한 인사'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민희진 vs 하이브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손-김-이' 유럽 3총사 이적설 본격 점화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