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밤' 캐스팅부터 영리한, 쫀쫀한 반전스릴러

발행:
김현록 기자
[리뷰] 영화 '사라진 밤'
사진=영화 '사라진 밤' 포스터
사진=영화 '사라진 밤' 포스터


'내가 죽인 아내의 시체가 사라졌다.' 말끔한 한 줄 카피만으로 흥미를 자아내는 영화 '사라진 밤'(감독 이창희)은 오랜만에 만나는 쫀쫀한 반전 스릴러다. 하지만 반전만이 이 영화의 미덕이 아니다.


갑작스럽게 아내(김희애 분)를 잃은 남자 진한(김강우 분). 안약을 넣고 거짓 눈물을 흘리는 것도 잠시, 그 새를 못 참고 내연녀의 집으로 달려가 시간을 보내던 그는 국과수 시체보관실에 있던 아내의 시신이 사라졌다는 연락을 받는다. 그는 사실 완전범죄를 꿈꾸며 아내를 살해한 범인이다. 그런데 왜, 어떻게 시신이 사라졌는지 도무지 알 수 없다. 베테랑 형사 중식(김상경 분)이 진한에게 의심을 품지만 오리무중에 빠진 시신 실종사건은 밤 늦도록 실마리가 잡히지 않는다. 급기야 그녀가 진짜 죽지 않았을지 모른다는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진한은 점점 더 혼란스러워진다.


스페인 영화 '더 바디'(2012)를 리메이크한 '사라진 밤'은 반전의 밀실 스릴러를 바탕으로 한, 지극히 한국적인 리메이크다. 탄탄한 원작을 바탕으로 던진 떡밥들을 모조리 회수하는 한편, 원작의 서늘하기까지 한 캐릭터와 전개 과정에 진한 감정선을 덧입혔다.


뒤통수 치는 반전이 역시 핵심이지만, 이야기가 전개되며 한 꺼풀씩 벗겨지는 캐릭터의 드라마도 흥미롭다.


슬픈 척 동정을 받으며 등장하는 진한은 상류층 싸이코패스 범죄자의 전형으로 보이지만 곧 허울뿐인 삶의 실상과 유약한 심성을 들킨다. 장르물 속 헐렁한 괴짜 형사의 전형처럼 등장한 중식은 처음엔 이 심각한 미스터리 스릴러에 어울리나 싶을 정도인데, 시간이 지날수록 뜻밖의 본모습을 드러낸다.


캐릭터의 감정선을 그려내며 진실에 다가가고 또 오해를 키워가는 전개가 퍽 리드미컬하다. 한정된 공간과 시간, 반복되는 플래시백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상당한 흡인력을 발휘한다.


기시감 가득한 캐스팅은 꽉 짜인 101분짜리 스릴러의 또 다른 미덕이다. '사라진 밤'은 배우의 전형과도 같은 이미지를 뻔뻔히 차용해 시의 적절히 써먹으며 극의 속도감과 긴장감을 더한다.


욕망에 사로잡힌 김강우, 인간미 넘치는 형사 김상경, 그리고 완벽한 여자 김희애는 등장하는 순간부터 설명이 필요없다. 특히 실질적 투톱인 김상경과 김강우는 팽팽한 대립 관계를 유지하며 극을 든든히 이끈다.


여기에 재력과 권력, 미모, 자신을 돋보이게 할 젊은 남편까지 갖춘 여자 윤설희 역의 김희애를 빼놓을 수 없다. 특별 출연이나 다름없는 캐릭터를 기꺼이 맡은 이 귀신같은 베테랑은 짧은 몇몇 장면만으로 영화 내내 강렬한 존재감을 드리운다. 그녀가 아닌 윤설희는 이토록 강력하지 않을 것 같다.


3월 7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아이유 '빛나는 매력'
빅뱅 지드래곤 '손끝부터 시선집중'
변우석 '팬들에게 스윗한 인사'
이민호 '변치 않는 비주얼'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수해 피해 더 이상 커지지 않길" ★ 기부 릴레이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손-김-이' 유럽 3총사 이적설 본격 점화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