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관 확장 '방법: 재차의', 스트레스 날려버릴 시원한 한 방 [종합]

발행:
강민경 기자
오윤아, 정지소, 엄지원, 권해효, 김용완 감독, 연상호 작가(왼쪽부터) /사진제공=CJ ENM
오윤아, 정지소, 엄지원, 권해효, 김용완 감독, 연상호 작가(왼쪽부터) /사진제공=CJ ENM

드라마 '방법'의 세계관이 확장됐다. 엄지원, 정지소를 시작으로 뉴 페이스 권해효, 오윤아까지 '방법: 재차의'가 올 여름 스트레스를 날려줄 수 있을까.


6일 오전 영화 '방법: 재차의'(감독 김용완) 온라인 제작보고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엄지원, 정지소, 권해효, 오윤아, 김용완 감독, 연상호 작가가 참석했다.


'방법: 재차의'는 되살아난 시체 '재차의'에 의한 연쇄살인사건을 막기 위해 미스터리의 실체를 파헤치는 이야기다. 한자 이름과 사진, 소지품으로 죽음에 이르게 하는 저주의 능력 방법이라는 신선한 소재로 매회 전율 돋는 공포를 선사했던 tvN 드라마 '방법'의 세계관을 스크린으로 확장한 작품이다.


연상호 작가 /사진제공=CJ ENM

드라마 '방법'의 연상호 작가와 김용완 감독이 다시 만난 '방법: 재차의'. 드라마 오리지널 제작진과 영화 '부산행', '곡성', '거은 사제들', '사바하' 제작진이 총출동했다.


연상호 작가는 '방법: 재차의'를 통해 한층 더 확장된 세계관은 물론 이른바 한국형 좀비 '재차의'라는 색다른 소재와 그들이 펼치는 시원한 액션, 미스터리한 사건의 쫄깃한 추적 과정까지 쾌감을 담아냈다.


이날 연상호 작가는 드라마 '방법'에서 보여줬던 미스테리를 추격을 하는 스토리 라인이 존재한다. 영화만의 템포감이 빠른 액션 등이 극장에 오랜만에 오셔서 시각적이고 청각적으로 즐길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려고 노력했다"라고 말했다.


김용완 감독 /사진제공=CJ ENM

이어 '재차의'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연상호 작가는 "재차의는 '여기 있다'라는 뜻의 한자어다. 예전에 설화집 중에 나오는 한국의 전통 요괴라고 할 수 있다. 주술사에게 조종당하는 시체를 뜻한다. 강시 같은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라고 덧붙여 웃음을 자아냈다.


김용완 감독 역시 "재차의는 손과 발이 붉고 움직임이 부자연스럽다. 이를 적극적으로 차용하고 영화적 설정을 발전시켰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기존의 좀비들은 식탐이나 감염의 목적으로 움직였다고 한다면, 재차의는 주술자들에 의해서 조종을 받는다. 목적된 인물, 목적 의식에 따라 동시 다발적으로 움직인다. 동시다발적으로 공격적이게 돌파하는 이미지다"라고 설명했다.


좀비와 재차의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이에 대해 김용완 감독은 "좀비들과 비주얼적인 차별점도 있다. 재차의는 일반적인 사람들과 구분할 수 없다. 일반적인 사람들처럼 말도 할 수 있고 생각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말도 할 수 있고 똑똑하다는 차별점이 있다"라고 짚었다.


엄지원 /사진제공=CJ ENM

김용완 감독은 "영화에서 좀비가 운전하는 걸 본 적이 별로 없다. 준비하는 과정에서 같은 택시를 재차의가 운전을 하면서 카체이싱을 한다. 다른 공간들 안에서도 다양하게 움직이면서 액티브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모습을 극장에서 봤을 때 '새롭다', '극장에서 볼 만 하다'라는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완성된 결과물에서도 잘 나왔다. (관객들의) 반응이 궁금하다"라고 했다.


엄지원은 "드라마에서는 사회부 기자였다. 모 라디오 프로그램에 게스트로 나가게 되서 생방송 중에 어떠한 사람으로부터 3건의 살인 예고 제보를 받는다. 본업이 기자다 보니까 끝까지 파헤치다 보니 살인 예고를 생중계하게 된다. 위험한 사건을 겪으면서 펼쳐지는 안내자 같은 역할을 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드라마 속 설정의 3년 후인 '방법: 재차의' 속 임진희에 대해서는 "어떤 큰 사건을 백소진이라는 방법사를 만나면서 이성이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을 겪게 됐다. 냉철하고 집요하지만 무속적인 것들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지고, 이성적이지 않은 일도 받아들이게 된 캐릭터"라고 덧붙였다.


정지소 /사진제공=CJ ENM

엄지원과 오윤아는 평소 절친으로 알려져 있다. 두 사람은 드라마 '무자식 상팔자' 이후 8년 만에 작품을 통해 재회했다. 엄지원은 "악연 같은 역할로 만나게 됐다. 연기하기가 힘들었다. 연기가 안 되더라. 윤아의 시선을 많이 피하면서 선배님을 보면서 연기를 했다. 연기를 너무 잘했더라. 눈빛에 눌려서 못 보겠더라"라고 재회한 소감을 밝혔다.


이를 들은 오윤아는 "저는 언니와 같이 작품을 해보고 싶었는데 기회가 정말 없었다. 드라마 '무자식 상팔자' 이후 오랜만에 하게 되서 설레고 즐겁다. 연상호 감독님과도 작업을 해보고 싶었는데 합류하게 돼 설레고 즐거운 마음으로 임했다. 지원언니와 대립하는 관계라는 걸 생각 하지 않았다"며 "요즘에 (코로나로) 잘 못 만나니까 오랜만에 점심을 먹고 수다를 떨었는데 다음 신에 대립을 해야했다. 생각보다 어렵더라. 정말 몰입을 많이 했다. 다른 작품보다 집중하게 되더라. 혼신의 연기를 했다"라고 힘을 보탰다.


정지소는 자신이 맡은 역할에 대해 3년 동안 자신에게 있는 악귀를 떨쳐내기 위해서 세상과 단절하면서 수행을 하러 떠났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촬영 중에 엄지원과 똑같은 모습을 한 귀신을 본 사연을 들려줬다.


오윤아, 정지소, 엄지원, 권해효(왼쪽부터) /사진제공=CJ ENM

정지소는 "제가 폐건물에서 액션을 하는 신이 있었다. 거기에 조명도 어둡고 하다 보니까 빛을 찾아서 길을 찾아갔다. 계단 쪽에 지원 선배님과 똑같은 머리 스타일, 옷 스타일을 하신 분이 계셨다. 선명하게 보이진 않았지만, 앉아서 자판기 커피를 들고 계시더라"라고 말했다.


"고뇌에 빠진 것 같아서 지금 말을 걸면 안 되겠다"싶었던 정지소. 그는 "그냥 지나갔다. 그리고 따로 마련된 모니터 방에 갔는데 선배님이 계셨다. 갑자기 화장실이 가고 싶었는데 하필 밤이어서 싫더라. 화장실 가는 길이 무섭다. 매니저님을 졸라서 같이 갔다"라고 덧붙였다. 이를 들은 연상호 작가는 "스턴트 대역이 아닐까"라고 말했다. 정지소는 "대역 선배님일 수도 있겠구나 싶었다. 그래서 감독님께 여쭤봤는데 그날 대역 선배님이 없었다고 했다"고 놀라움을 자아냈다.


마지막으로 연상호 작가는 "극장에서 즐길 수 있는 오락 영화"라고 했다. 김용완 감독도 "배우분들, 스태프분들, 재차의 역할 했던 스턴트 분들도 고새을 많이 했다. 그만큼 재밌는 장면이 나오게 노력했다. 극장에 많이 찾아와달라"고 당부했다. 엄지원은 "여름에 스트레스를 날릴 수 있는 긴장감 넘치고 액션이 가미된 미스테리 장르다. 가벼운 마음으로 볼 수 있길 바라는 마음으로 찍었고 그런 영화가 나왔다"라고 전했다.


한편 '방법: 재차의'는 오는 28일 개봉한다.


강민경 기자 light39@mtstarnews.com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아크 '완벽한 컴백 무대'
이프아이, R U OK?
새롭게 시작하는 '보이즈 2 플래닛'
차은우 '아쉬운 인사'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웰컴 25호"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KBO 전반기 시청률, 톱11 중 10경기가 '한화'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