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g워너비, 바이브 등 모바일 음악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톱가수들이 이동통신사가 수익의 절반을 가져간다고 반발하며 전면전을 선언했다.
sg워너비와 엠투엠, 씨야를 필두로 바이브, KCM 등 국내 모바일 음원시장에서 50% 가까운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가수들은 SK텔레콤과 LG텔레콤, KTF등 이동통신사들과 음원 수익률 배분을 놓고 음원 공급을 중단하기로 결의한 것.
그동안 가요계에서는 이동통신사들의 모바일 음원서비스 수익의 50% 이상을 가져가는 현 구조에 대한 반발심이 컸다.
sg워너비 등은 "음악제작사와 가수는 많은 비용을 들여 작곡가를 섭외하고 뮤직비디오를 만들어 노래를 히트시켜도 음원 수익의 대부분을 이동통신사에서 가져가기 때문에, 모바일 음원 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하더라도 음원 컨텐츠를 제작하는 쪽에서는 음원 개발비용이 부담스럽고 결국 음반시장이 고사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동통신사가 취하는 수수료는 일본이 9%, 중국 20%선인 점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50%는 과도한 수치라는게 음반계 입장"이며 "이동통신사들은 음원으로 인한 매출 외에도 무선데이터 등 부가적인 수입을 따로 챙기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sg워너비, 씨야, 엠투엠, 바이브, KCM은 현재 음반계에서 절실히 느끼고 있는 이러한 부당한 구조를 개선하는데 앞장을 서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sg워너비 소속사 GM기획의 김광수 이사는 "이동통신사의 음원서비스로 인한 발생된 매출 중 음원 제작자와 가수에게 돌아오는 몫은 25~30%에 불과하다"며 "이 조차도 작곡자와 작사자 등에 수익을 배분하고 있고, 음원을 히트시키기 위한 뮤직비디오 제작비용 및 마케팅 비용을 모두 제작사에서 감당 하기 때문에 제작사와 가수 입장에서는 현 구조에 대한 상당한 불만을 갖고 있다. 개선의 필요성이 있는 이 문제를 조만간 음반제작자협회 회의에 상정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아울러 "sg워너비, 씨야, 엠투엠을 포함해 바이브, KCM 등 국내 톱가수들은 처음으로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고, 과도한 수수료 떼기를 중단하고 수수료율을 낮추라는 주장을 펼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오는 27일 서울 잠실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비, sg워너비, 코요태, SS501 등 국내 톱가수들이 총출동 하는 아이콘서트-Simply the best 06'에서 제작자들과 가수들이 공동 대응책 내놓을 계획이다.
음원 제작자들과 이동통신사의 '힘겨루기'가 어떤 양상을 보이게 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