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속사 엠피엠지(MPMG)가 CJ ENM과 엠넷의 갑질 횡포를 폭로했다.
엠피엠지는 12일 오후 2시 서울 마포구 엠피엠지 건물 2층에서 대기업 갑질 관련 기자회견을 열었다. 현장에는 엠피엠지 이종현 PD와 김종희 변호사가 참석했다.
이날 이종현은 CJ ENM과 엠넷을 언급하고 "2022년 방송 투자를 했던 '그레이트 서울 인베이전'과 관련한 이슈를 꺼내고자 한다. 고민이 많았다. 당사자들을 소환하는 게 의미가 있나 생각도 했고 종영 이후 피해를 엄청나게 많이 봤다. 이후 엠넷에서 밴드 프로를 만들려 해서 가만 안 있겠다고 했다"라며 "이후 엠넷에서 결국 밴드 프로그램을 론칭하고 정통성을 강조하려 해서 선의의 피해자가 생길 것 같다는 생각에 분노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엠넷이 가진 마인드가 어떤건지 모르겠다. 우리가 보는 경연 프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리고자 했다. 이날 신고가 접수됐을 것"이라며 "'그레이트 인베이전 서울'은 100% 민간 기업이 돈을 낸 사례다. 10원도 안 내고 IP를 가져간 경우도 없었고 일도 저희가 하고 돈도 추가로 댔고 홍보 음원 공연 촬영 등도 다 부담했다. 하지만 그때 화제성도 최악이었다"라고 말했다.
엠피엠지는 앞서 "대기업의 갑질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 신고와 법적절차를 앞두고 이 자리를 마련했다"라며 "상식적이지 않은 횡포로 인해 당사는 수년간 경제적, 업무적, 정신적으로 큰 위기에 봉착했고최소한의 양심이 있다면 적어도 상식에 기반한 행보를 보일 것이라고 생각하며 그동안 겪어왔던 일들을 단 한번도 외부에 공개한 적이 없었다"라고 밝혔다.
이어 "각종 감언이설과 협박으로 필요한 것만 얻어간 채, 그 해결방안을 내놓지 않음은 물론 정당한 요청에도 그 어떤 답변 조차 주지 않는 등 파트너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조차 없다가 최근 본인들의 비즈니스 정당성과 사업 확장을 위한 도구로 비슷한 형태의 행보를 걷는 것을 보면서, 더 이상은 묵과할 수 없었다"라며 "이번 문제가 문화 선진국이라는 단어에 무색하게 우리 사회 전반에 만연한 문제인지에 대해서도 한 번 즈음 논의할 수 있는 시간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며 부디 대중문화와 음악의 공정한 환경이 조금이라도 개선될 수 있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