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황후'가 역사논란에 대처하는 방법

발행:
김현록 기자
사진='기황후' 화면 캡처
사진='기황후' 화면 캡처


MBC 월화특별기획 '기황후'(극본 장영철 정경순·연출 한희 이성준, 제작 이김프로덕션)는 시작부터 논란의 드라마였다. 주인공인 기황후는 고려의 공녀로 원나라에 건너가 황후가 된 실존 인물이다. 우리 역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만큼 입지전적인 여인이지만, 그 오빠들이 고려에서 패악을 벌이다 공민왕에 의해 목숨을 잃고 그에 분노해 고려 침공을 주도한 터라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기황후'라는 드라마 자체가 기황후란 인물을 긍정적으로만 조명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왔고, 일부는 격앙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그 자체로 드라마틱하고 흥미로운 드라마의 주인공임에는 틀림없었다. 장영철 정경순 작가는 "후반부에는 그녀의 부정적 측면도 드러낼 것"이라고 다짐했다. 다른 주요 인물 중 하나였던 '충혜왕'은 도를 넘어선 패악질로 악명높은 인물. 이에 제작진은 아예 충혜라는 인물을 들어내고 가상의 남자 주인공을 세운 뒤 다른 역사적 사실들을 극 중에 녹여냈다.


그렇게 우여곡절 끝에 시작된 '기황후'는 "이 드라마는 고려말, 공녀로 끌려가 원나라 황후가 된 기황후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했으며, 일부 가상의 인물과 허구의 사건을 다루었습니다. 실제 역사와 다름을 밝혀드립니다"라는 자막과 함께 초반을 시작했다. 실제로 '기황후'는 능력자 기승냥(하지원 분)의 맹활약이 이어진 초반 상상력에 크게 기댄 반면, 승냥이 궁에 들어간 이후에는 각종 역사적 인물,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여러 에피소드를 만들었다.


타환(극중 지창욱)이 원 황제 순제로 등극한 뒤 연철(극중 전국환) 일가가 세도를 누리다 연철은 물론 아들 당기세(극중 김정현), 딸인 황후 타나실리(극중 백진희)가 모반죄로 백안(극중 김영호), 탈탈(극중 진이한)이 이르는 세력에 의해 제거당한 중반 클라이맥스는 역사적 사실. 후에 몽고족인 바얀 후투그(극중 임주은)가 정실 황후가 되고 이후에야 기황후가 황후 자리에 오른 것 또한 사실이다. 탈탈이 권세를 탐한 숙부 백안을 축출한 것 또한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뒀다. 기황후를 등에 업고 권력을 휘두르는 고려 출신 환관 박불화(극중 최무성) 역시 실존인물. 극 초반 타환이 고려로 유배를 왔다는 설정도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것이다.


물론 가상의 전개도 상당하다. 기황후의 아들로 훗날 북원의 초대 황제가 되는 아유시리다라는 실존 인물이지만, 극중 기황후와 고려 출신 왕유(주진모 분)의 친아들로 등장하는 마하는 실재하지 않았던 인물. 순재 즉위 시절 명재상으로 기록된 탈탈 또한 고려와의 전쟁에서 죽은 것이 아니라 권력에서 축출돼 유배생활 중 독살당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바얀 후투그는 어질고 온화한 성품으로 묘사됐으나 극중에서는 잔혹하고 질투심 강한 이중성을 숨긴 사이코패스 캐릭터로 바뀌었다. 가상인물 왕유와 함께 등장한 캐릭터들은 대다수가 허구의 인물. 연비수(유인영 분), 염병수(정웅인 분)를 비롯해 기황후 최후의 적이 됐던 매박상단과 골타(조재윤 분)도 마찬가지다.


'기황후'는 역사적 사실을 뼈대로 두고 그럴듯한 상상력을 가미해 51회를 이끌었다. 이는 주부 시청자는 물론 묵직한 이야기에 호응하는 남성 시청자들까지 끌어들이는 원동력이 됐다. 출생의 비밀은 물론이거니와 무속신앙, 주술까지 끌어들여 상상의 나래를 펼쳤으나 단 하나 예정된 결말은 있었다. 바로 주인공 기황후의 비극적인 최후다. 작가가 초반 다짐한 대로 후반부는 기황후의 부정적 측면에 할애할 예정이었다. 기황후는 모든 적과 함께 모든 동지를 잃고 고려의 침공과 함께 몰락했다. 이 역시 원이 급격히 쇠퇴하는 시기, 고려를 침공하려 했으나 결국 성공하지 못한 사실과 맥락을 함께 했다. 그의 추락을 마지막 51회에 모두 담았고, 드라마가 끝난 뒤 자막으로 '기황후'의 뒤 이야기를 알렸다. 그의 묘가 한국에 있다는 기록은 드라마틱함에도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기황후'의 역사 논란 대응은 적극적이면서도 영리했다. 우려 속에 출발한 기황후가 51부 내내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으며 동시간대 시청률 정상을 지킨 것은 물론 '한국인이 사랑하는 프로그램' 1위에, 콘텐츠 파워지수 1위에 오른 것도 이같은 대처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드라마 관계자들은 분석했다. 한 방송 관계자는 "논란의 소재를 이처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해석해 대중적인 콘텐츠로 완성했다"고 평가했다.


김현록 기자 roky@mtstarmews.com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아크 '완벽한 컴백 무대'
이프아이, R U OK?
새롭게 시작하는 '보이즈 2 플래닛'
차은우 '아쉬운 인사'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웰컴 25호"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KBO 전반기 시청률, 톱11 중 10경기가 '한화'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