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2008 아나테이너 '지고' vs 싱어테이너 '뜨고'

2008 아나테이너 '지고' vs 싱어테이너 '뜨고'

발행 :

김겨울 기자
윤종신 이효리 오상진과 김일중 김주희(윗쪽 왼쪽부터 시계방향)
윤종신 이효리 오상진과 김일중 김주희(윗쪽 왼쪽부터 시계방향)


2008 공중파 3사에서 윤종신, 이효리, 서인영, 은지원, 김종국, 비, MC 몽, 이승기, 솔비, 대성 등 싱어테이너의 활약은 눈부셨다. 이들은 싱어테이너(싱어+엔터테이너)라 불리며 각종 예능 프로그램에서 게스트 뿐 아니라 고정 출연자 자리까지 꿰차며 좋은 성과를 기록했다.


반면 오상진, 서현진, 문지애, 김주희, 이정민 아나운서 등은 연초에 선전하는 가 싶더니 이내 아나운서의 예능 진출은 어렵다는 아쉬움만 남겼다. 특히 방송사에서 전략적으로 이들을 키워내기 위해 마련했던 방송들이 줄줄이 폐지되면서 아나테이너는 더욱 갈 곳을 잃었다. 비 예능인 출신인 싱어테이너와 아나테이너의 활약과 몰락을 비교해봤다.


주워 먹는 개그', '예능 늦둥이', '장년층' 등 무수한 별명을 가진 윤종신은 2000년대 청소년들이 그가 발라드 가수였단 사실도 모를 정도로 2008년 한 해 개그맨보다 더 웃긴 예능인이었다. 그는 MBC'라디오 스타'와 SBS '패밀리가 떴다'를 통해 토크쇼와 리얼 버라이어티에서 모두 살아남으면서 2008년 싱어테이너의 활약을 이끌었다.


이효리는 올해 발표한 신곡 '유고 걸'로 귀여우면서도 섹시한 이미지로 그간 부진을 만회하나 싶더니 '패밀리가 떴다'에서 유재석과 함께 국민 남매로 어필해 성공했다. 시청자들은 무대에서 노출이 심한 의상과 짙은 화장을 해도 야생에서는 트레이닝복을 입고 깡충깡충 뛰어다니는 엽기적인 그녀에게 열광했다. 서인영 역시 MBC '우리결혼했어요'에서 자신의 솔직한 모습을 유감없이 보여주며 '신상녀'로 불리며 새로운 예능 스타로 자리 매김했다.


이밖에 KBS 2TV '1박2일'의 '달인' 김C, '초딩' 은지원, '허당' 이승기, '우리결혼했어요'에서 크라운 J, 앤디, 솔비, 알렉스에서 최근 손담비, 강인까지 싱어테이너의 대표적인 주자라 할 수 있다. '무릎팍 도사'나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출연했던 비와 김종국 역시 타고난 재치로 출연할 때마다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싱어테이너의 활약에 한몫했다.


반면 아나테이너들을 내세운 프로그램은 번번이 시청률에서 고배를 마셨다. MBC에서 야심차게 밀었던 '지피지기','네버엔딩스토리'나 SBS '일요일이 좋다-기적의 승부사'가 그 예다. '지피지기'는 서현진, 최현정, 손정은, 문지애로 이뤄진 젊은 네 명의 여자 아나운서를 기용했으나 KBS 2TV '상상플러스'나 '스타 골든벨'과 같이 아나운서의 역할을 제대로 설정하는 데 실패, 시청자들로부터 외면 받았다.


'네버엔딩스토리'는 첫 회에서 나경은 아나운서가 남극까지 다녀오는 열정을 보이며 아나운서가 세계 각지를 돌아다니며 사람을 만난다는 야심찬 기획으로 시작했지만 MBC 내부에서 조차 '아나운서들의 외유성 나들이냐?'란 질타를 받을 정도로 성과 없이 종영됐다. 예능 프로그램도 아니면서 아나운서들의 사적인 모습을 담아내고, 그렇다고 시사ㆍ교양 프로그램 같지도 않은 애매모호한 프로그램이었다는 게 실패의 요인으로 지적된다.


'기적의 승부사' 역시 김주희, 전미선, 김일중 아나운서들을 대거 출연시켜 뜀뛰기 등 아나운서들이 최초로 슬랩스틱 코미디에도 도전했지만 시청자들의 마음을 끌어들이기에 실패, 결국 저조한 시청률로 폐지됐다. 이와 함께 노현정 아나운서 이후 백승주 아나운서, 최송현 전 아나운서, 이지애 아나운서가 잇따라 안방마님으로 나섰지만 뚜렷한 스타 아나테이너를 배출하지 못하면서 '상상플러스2'도 예전만 못하다는 평에 시달려야 했다.


주요 기사

    연예-방송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방송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