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폼나게 먹자'에서 출연진이 토종쌀, 토종닭, 감로주를 식재료로 얻었다.
21일 오후 방송된 SBS 예능프로그램 '폼나게 먹자'에서는 토종쌀, 토종닭, 감로주를 식재료로 얻은 출연진의 모습이 그려졌다.
출연진은 차를 타고 이동했다. 도착한 곳은 논이었고, '김재료' 김진영 식재료 전문가가 있었다. 출연진은 힌트를 확인했다. 힌트는 밥공기였고, 생소한 이름이 적혀져 있었다. 적혀진 것은 토종 쌀 품종의 이름이었다. 김진영 씨는 쌀 품종이 150가지나 된다고 말해 출연진을 놀라게 했다.
이어 출연진은 이근이 농부를 만났다. 이근이 농부는 "과거에 1450여 종의 토종 벼가 존재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이 벼 품종 조사를 시행했는데, 그 목적은 토종 벼를 없애는 것이다. 현재 우리 땅에는 일본개량종이 더 많아졌다"고 말했다. 이후 우리나라 토종 쌀밥을 출연진에게 소개했다.
토종쌀 중 하나인 자광도 쌀밥을 먹어본 출연진은 만족한 모습을 보였다. 토니안은 "찰진 느낌이랑 정반대다. 꼬들꼬들한 식감이 든다"고 말했다. 김상중은 "날아다니는 쌀밥을 먹는 느낌이 든다"고 평했다.
출연진은 이경규, 채림, 김진영 팀과 김상중, 로꼬, 토니안 팀으로 나눠서 부재료를 찾으러 떠났다. 이경규 팀은 닭 농장을 향했다. 이경규 팀은 그곳에서 현인 재래 닭을 발견했다. 농장 주인 홍승갑 명인은 "전국에 20여 가지 색상의 토종닭이 있었다. 일제 육계에 의해 전부 멸망할 위기에 처했다. 현재는 15가지 색상의 닭 복원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채림은 "우리 토종닭이 어떤 것인지도 모르고 먹었다는 게 부끄럽다"며 소감을 밝혔다.
한편 김상중 팀은 조선의 3대 명주 중 하나인 감홍로 제작 공장을 방문했다. 이기숙 명인은 "'별주부전'에서 토끼를 용궁으로 오게한 것이 감홍로다. '춘향전'에서 이별주로 감로주가 나오기도 했다"며 조선시대 고전 문학 속에 감홍로가 언급됐음을 밝혔다.
감홍로를 먹어본 토니안은 감탄한 표정을 지었다. 그는 "마실 때 계피 향이 돌고 꿀맛도 난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상중은 "위스키의 향이 난다"고 평했다.
식재료와 부재료를 모두 모은 출연진은 심영순 한식 요리 전문가를 찾았다. 심영순 씨는 "영부인이 오셔도 같이 해야 한다. 이곳은 시연하는 곳이 아니라 같이 실습하는 곳이다"라고 말하며 출연진에게 재료 손질 등을 시켰다.
출연진은 심영순 씨와 함께 어육보양탕을 만들었다. 이어 16도에서 나온 모든 토종쌀로 밥을 지었다. 출연진은 요리에 서툰 모습을 보였지만, 심영순 씨의 지도에 따라 차근차근 요리해나갔다.
출연진은 완성된 어육보양탕, 토종쌀밥과 직접 가져온 감홍로를 먹어봤다. 출연진은 이날 나온 음식에 호평을 아끼지 않았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