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알쓸신잡3' 김상욱 교수 "정확한 일식, 한국에서 중요했다"

'알쓸신잡3' 김상욱 교수 "정확한 일식, 한국에서 중요했다"

발행 :

이슈팀 강민경 기자
/사진=tvN '알쓸신잡3' 방송화면 캡처
/사진=tvN '알쓸신잡3' 방송화면 캡처

'알쓸신잡3'에서 김상욱 교수가 안티키테라 기계를 보고 감탄했다.


28일 오후 방송된 케이블채널 tvN 예능프로그램 '알쓸신잡(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 3'에서는 고고학 박물관에 간 잡학 박사들의 모습이 그려졌다.


이날 방송에서 김상욱 교수는 다른 출연진들과 다르게 안티키테라 기계에만 관심을 보였다. 그는 안티키테라를 찾아 감탄했다.


김상욱 교수는 "(당시) 최고의 기술이었을 것이다. 안티키테라라는 곳에서 배가 한 척 침몰해서 발견된다. 발견된 것 중에 이상하게 생긴 유물 하나가 있었는데 바로 동근 원반 모양의 청동 덩어리였다. 그런데 용도를 알 수 없어 50여년간 방치됐다"고 말했다.


그는 "밖에서 보면 많은 정보가 없지만 (3D) X-ray 단층 기술이 있다. 겉보기엔 알 수 없는 조각들이지만 (X-ray) 기계로 들여다보면 수많은 글자들이 적혀 있었다. 복원해보니 톱니바퀴로 이루어진 알 수 없는 기계였지만 원판 두개로 모든 것이 수렴된다. 두 원판은 어떠한 주기 운동을 나타내는 듯했는데 따져보니 달의 운동과 관련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상욱 교수는 "우리는 그때 아직 삼국시대가 정립도 안된 시기였다. 정확한 일식을 아는 것이 한국에서도 되게 중요했다. 동요를 막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왕이 미리 얘기하는 것이다. 그런데 세종 때 일식 예측이 15분 틀렸다. 담당자가 곤장을 맞았다. 그래서 세종이 새 팀을 꾸려 중국에서 혼천의를 가져왔다. 그것을 우리에 맞게 변형시켜 작업을 했다. 다음 일식은 정확히 맞췄다"고 전했다.


주요 기사

    연예-방송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방송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