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가 협착증인가요, 디스크인가요?’
허리가 아픈 환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이다.
디스크와 협착증은 연장선상에 있어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다. 나이가 들면 척추체(척추뼈) 사이에 있는 연골이 나이가 들면 퇴행변화가 발생하며, 인대와 후관절도 두꺼워지게 된다. 사실 관리를 잘하더라도 퇴행변화는 막을 수 없다. 물론 관리를 잘 한 사람과 안 한 사람의 차이는 심하겠지만 쉽게 말해 나이가 들면 이마에 주름이 지듯이, 척추에도 나이가 든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한 것이다. 우리가 협착증이라고 하면 어렵게 생각할 수 있는데 쉽게 설명하자면 신경이 지나가는 길이 좁다고 생각하면 된다.
협착증의 종류는 척추관 협착증, 추간공 협착증 2가지 종류가 있다. 협착증을 만들어내는 원인은 퇴행디스크와 후관절의 비후, 황색인대의 비후(두꺼워짐)으로 인해 발생한다. 보통 중년이상에서 특별한 이벤트 없이 발생하는 허리통증 다리통증은 협착증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하지만 그 중에 디스크가 터져 나와서 다리통증을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대게는 척추관 협착증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협착증의 증상은 허리에 막연한 무지근한 통증과 뻣뻣함이 나타나는데 습하고 찬 기후에 악화되고 따뜻하게 해 주면 완화되며 활동에 의하여 악화되고 안정을 취하면 호전 되는 것이 전형적인 양상이다. 척추관의 크기는 자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허리를 펼 때 증상은 악화되고 구부릴 때 호전된다.
서거나 허리를 편 자세에서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의 경우 앉아서 허리를 구부리면 80%가 단지 허리를 구부리는 것으로는 75% 이상이 그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환자들은 대부분 그들의 증상을 분명하게 설명은 못하지만 구부리고 앉거나 의자나 전봇대에 혹은 벽을 짚고 구부리면 증상이 완화되기도 한다.
협착증이 심한 사람들은 걷다 보면 다리가 저리고 아파서 오래 걷지 못하게 되는데 이를 파행이라고 한다. 파행이 심한 사람들은 100m도 못 걷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기도 한다.
협착증의 진단으로는 요추 단순엑스선 촬영에서도 의심할 수 있지만 사실 정확한 진단을 위해는 CT나 MRI를 고려해야 하며, 시술이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MRI를 시행하여 협착의 정도나 신경압박 정도를 파악해야 한다.

치료로는 협착증 초기에는 약물치료, 운동치료, 물리치료를 시행하며,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신경치료로 신경차단술 및 시술을 고려하기도 한다. 이러한 보존적 치료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경우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김태겸 안산 에이스병원 원장은 “사실 50대 이후부터는 허리통증이 지속된다면 척추관 협착증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본인이 지속되는 허리통증 걸으면 심해지는 다리통증이 있으면 병원에 내원하여 척추협착증이 있는지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