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KT 1년 빅데이터 결과, "5인이상 집합금지 후 인구 이동량 급감"

KT 1년 빅데이터 결과, "5인이상 집합금지 후 인구 이동량 급감"

발행 :

배병만 산업레저대기자
사진

서울시가 지난해 12월 23일부터 실시한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치가 효과가 있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KT가 7일 공개한 '지난해 코로나19 유행 시기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5인 이상 집합금지가 시행되기 4일 전부터 서울시 인구 이동량이 증가 추세로 전환되기 시작했으나 5인 이상 집합금지가 발효되고 성탄절 연휴가 시작되면서 이동량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이후 확진자도 감소하기 시작했다.


연말 유동인구가 늘어나는 시점에 맞춰 적절한 시기에 대응해 확진자 증가세가 둔화되는 효과를 거뒀다는 분석이다. 결국 5인 이상 집합금지가 상당한 효과를 거둔 셈이다.


시민들도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상향에 앞서 적극적으로 행동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서울시 인구이동 추이를 살펴보면,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의 방역 단계가 강화된 11월 24일 이전부터 이미 서울 내 이동인구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시민들이 확진자 증가 추이를 살피면서 자발적으로 이동을 줄인 것이다.

사진

하지만 3차 대유행 시기(지난해 11월 1일~12월 31일)에는 1,2차 때와 양상은 달랐다. 1차 유행(3월), 2차 유행(8월) 때와는 달리 이동인구 감소 현상이 다소 천천히 나타나는 등 시민들의 반응 속도가 1,2차에 비해 더뎌진 것이다.


같은 기간 트위터나 커뮤니티 등 소셜 버즈량(키워드 코로나) 추이도 1,2차 유행 때보다 3차 대유행에서 확진자 수가 크게 늘었음에도, 버즈량은 오히려 감소했다. 장기간 진행된 방역 조치에 따라 시민들이 피로도가 커지고, 코로나19에 대한 학습효과가 생긴 영향 때문이란 분석이다.


지역별 확진자 비율(거주자 대비 확진자 수)은 다른 지역구로 나가는 이동인구가 많은 곳보다 다른 곳에서 인구 유입이 많은 지역구가 높았다. 타 지역구 인구의 유입이 가장 많은 중구와 종로구는 확진자 비율이 각각 0.18%, 0.21%로 조사됐다. 강서구, 중랑구는 유입인구 비율이 낮지만 지역 집단감염(강서구 11월26일 댄스학원, 12월12일 종교시설, 중랑구 12월말 종교시설)으로 확진자 비율이 높았다.


5인 이상 집합금지 이후에도 확진자가 늘어난 자치구는 유입인구 감소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영등포구의 경우 5인 이상 집합금지 이후 확진자가 감소한 반면, 금천구는 확진자가 계속 증가했다. 영등포구는 5인 이상 집합금지 실시 전까지 타 지역으로부터의 유입인구가 금천구보다 더 많이 감소했는데, 이는 사업장 유형이나 근로조건 등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김형욱 KT 미래가치추진실장(부사장)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코로나19 확진자 증감 추이와 방역 정책에 따른 유동인구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시민들의 피로와 불만, 그리고 경제 활성화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세밀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인 만큼, 국민의 안전과 방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익한 빅데이터를 계속 제공하겠다"고 덧붙였다.


주요 기사

비즈/라이프-테크/IT의 인기 급상승 뉴스

비즈/라이프-테크/IT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