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이 양자암호통신의 대중화를 위해 글로벌 기술 표준 수립에 나선다.
SK텔레콤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 회의에서 양자암호통신망의 관리와 연동에 대한 기술을 제안한 결과 국제 표준화 과제로 채택됐다고 18일 밝혔다. ITU-T는 전기통신 국제기구인 ITU 산하기관이다. 국제표준화 과제로 채택된 기술은 ITU-T 내 수십여 개 국가의 논의를 거친 뒤 글로벌 표준으로 제정된다.
이번 ITU-T 회의에서 채택된 기술은 Δ양자암호통신망 연동을 위한 통합 관리 소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시스템 Δ연합 양자암호 통신망(QKD Network Federation) 등 총 2건이다. 국제표준화 과제로 채택된 기술은 ITU-T 내 국가들의 논의를 거친 뒤 글로벌 표준으로 제정된다.
두 기술 모두 양자암호통신 기술의 확산을 위한 핵심 기술로 꼽힌다. 우선 양자암호통신망 연동을 위한 통합 관리 SDN 시스템은 통신사의 기존 통신망과 양자암호통신망을 통합해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서로 다른 장비 회사의 양자암호키분배기(QKD)를 활용한 양자암호통신망까지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연합 양자암호 통신망 기술은 서로 다른 사업자의 양자암호통신망을 연동해 다른 망을 이용하는 가입자 간에도 통신을 가능케 한다. 또 국가 양자암호 기간통신망과 통신사 양자암호통신망을 연합해 위급 상황에서 공동 로밍도 가능해진다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타 국가 및 기관과 협력해 양자암호통신망의 연동 구조에 대한 표준화 작업도 추진할 수 있도록 승인을 받았다.
하민용 SK텔레콤 혁신사업TF 담당(CDO)은 "이번 국제표준화 과제로 채택된 과제는 양자암호통신의 대중화를 이끌 핵심 기술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SK텔레콤은 국제표준화 작업을 비롯 서비스 발굴 및 사업화를 지속 추진해 양자 생태계 발전을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