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SKT, AI 서비스 에이닷 업데이트…"과거 대화 기억해 사람처럼 소통"

SKT, AI 서비스 에이닷 업데이트…"과거 대화 기억해 사람처럼 소통"

발행 :

김혜림 기자
모델이 '에이닷'을 사용하는 모습
모델이 '에이닷'을 사용하는 모습

SK텔레콤이 이용자의 오래된 정보를 기억하고 대화 중에 관련 사진도 스스로 제시하며 사람처럼 소통할 수 있는 'A.(에이닷)' 업데이트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2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이용자가 에이닷과 오래 전에 대화했던 내용 중 중요한 정보를 기억해주는 '장기기억' 기술과 다양한 영역에서 수집된 이미지와 한글 텍스트를 동시에 학습해 사람과 흡사하게 생각하고 스스로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 리트리벌(이미지 검색)' 기술을 에이닷에 적용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에 따르면 고객이 에이닷에게 "배가 고픈데 뭘 먹을까?"라고 말하면 장기기억 기술을 기반으로 "너 치즈피자 좋아하잖아. 치즈피자 먹는게 어때?"라고 동조해준다. 이후 이미지 리트리벌 기술을 활용해 수많은 종류의 피자 이미지 중에 치즈피자를 찾아내 제시하는 식으로 사람과 흡사한 대화가 가능하다.


SK텔레콤은 에이닷을 통해 방대한 양의 지식을 얻는 것 뿐 아니라 친구처럼 기억해주고 사소한 대화도 나눌 수 있는 '감성 대화'에 초점을 맞춰 고객에게 보다 친숙한 AI 경험을 전하는 것에 주안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에이닷에 이미지 리트리벌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SK텔레콤은 한국의 지역성을 정확하게 설명 가능한 한국어 기반 10억장의 '이미지-한글 텍스트 쌍' 학습 데이터를 구축해 초거대 멀티모달 AI(인공지능)를 학습시켰다. 이는 최대 규모의 데이터 구축이며 한국적인 특성이 구체적으로 반영됐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는 게 SK텔레콤의 설명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가 에이닷에 발화를 하면 제시된 텍스트를 텍스트 인코더를 통해 인식하고 관련 이미지를 각각 카테고리로 분류한 후 적합한 이미지를 찾는다.


이미지 인코더는 자연어를 기반으로 정확한 이미지 분류를 수행할 수 있는 일종의 신경망이다. 이를 통해 수많은 이미지 데이터 중에 명령어와 가장 적합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국내 대표 영어교육기업인 YBM, 야나두, 하얀마인드와 제휴를 통해 영어학습 서비스인 '에이닷 튜터(A.tutor)'도 선보인다.


이용자는 에이닷 튜터를 통해 비즈니스·일상회화·공인시험 등 필요한 영어 어휘와 표현, 오디오 학습 콘텐츠, 영상 속 영어 문장을 직접 조합해 보는 '쉐도잉' 학습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김용훈 SK텔레콤 A.추진단 CASO(Chief A. Service Officer)는 "SK텔레콤은 앞으로도 에이닷을 통해 고객들이 좀 더 친숙하고 나만의 친구 같은 AI를 경험할 수 있도록 자사가 갖고 있는 AI 역량을 총동원할 계획"이라며 "한층 업그레이드된 AI 기능과 콘텐츠를 지속 선보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주요 기사

비즈/라이프-테크/IT의 인기 급상승 뉴스

비즈/라이프-테크/IT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