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위기의 영화감독들 "합리적 기준 찾아야" 토론제안

위기의 영화감독들 "합리적 기준 찾아야" 토론제안

발행 :

김현록 기자
이명세 감독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이명세 감독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최근 현장에서 갈등을 빚은 영화감독들의 중도 하차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영화감독조합(이하 감독조합)이 토론의 장을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감독조합은 19일 '한국 영화감독 조합이 한국 영화계에 드리는 제안서'를 내고 최근 영화감독의 해임 사례 등을 거론하며 "하루빨리 영화 제작 전반에 관한 합리적 기준을 찾기 위한 토론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한국 영화계를 한번만 더 생각해보면 왠지 불안하고 위태로운 이 느낌을 외면하기 힘든 것 또한 지금의 엄연한 현실"이라며 "특히 요즘 들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영화감독의 해임 및 유사 사례들은 분야를 초월해 모든 영화인들에게 알 수 없는 위기감과 무력감을 조성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또 누군가는 고용자 측이라는 이유만으로 근거 없는 억측과 소문이 만들어낸 가해자란 누명에 억울해 하고 그 사이에서 여타의 스태프는 여전히 불안정한 근로 환경에 시달리며 살아가지만 이미 체념은 습관이 됐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최근 이명세 감독, 임순례 감독, 박신우 감독 및 우리가 미처 헤아리지 못한 상처 입은 많은 신인 감독들. 분노하고 통탄할 일이지만 감독조합은 이들을 일일이 보듬고 감싸는 것이 지금의 우선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그보다는 무원칙과 무책임으로 인해 영화계에 만연하기 시작한 증오와 불신이 결국은 우리 한국 영화계를 공멸의 길로 이끌 것이라는 극한의 위기감에 주목하려 한다"고 전했다.


이들은 "각 분야의 철저한 반성과 고백의 아픔을 바탕으로 조금은 거칠고 더딜지라도 상호 신뢰와 존경을 담보할 수 있는 합의를 목표하면서 우리는 만나고 이야기해야 한다"며 "그렇게 만들어진 건강한 제작 시스템만이 지금 한국 영화계의 혼돈을 막는 기본일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협상종결자'로 제목을 바꾼 '미스터K'의 경우 촬영중이던 이명세 감독이 투자자 제작사와의 갈등 끝에 감독직에서 물러났고, 임순례 감독은 '남쪽으로 튀어'를 찍던 중 촬영을 중단하고 현장을 떠났다 다시 복귀했다. '동창생'의 경우 촬영을 30% 가량 진행한 상태에서 박신우 감독이 하차, 조감독이었던 박홍수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주요 기사

    연예-영화의 인기 급상승 뉴스

    연예-영화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