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국제영화제 떠난 8인의 직원이 사임의 변을 밝혔다.
13일 전주국제영화제 홍영주 전 사무처장을 비롯한 직원 8인은 '전주국제영화제를 떠난 직원 8인의 사임의 변'이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홍영주 전 사무처장과 조지훈 맹수진 전 프로그래머, 유현주 전 브랜드마케팅실장, 김현태 전 기획운영실장, 이정진 전 프로그램실장, 신동환 전 제작배급실장, 이범주 전 운영팀장 등 8인의 전주국제영화제 직원들은 지난달 22일부터 잇따라 사직서를 제출했다. 지난 6월 유운성 전 프로그래머의 해임에 이어 주요 직원들의 도미노 사임 사태로 전주국제영화제는 운영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전주국제영화제 사임 직원 8인은 이번 성명을 통해 구체적인 사임의 이유와 영화제 운영의 문제점을 밝혔다. 직원 8인은 성명을 통해 '시네아스트 50 프로젝트'와 자크 오몽 공동집행위원장 추진, 영화제 준비 과정에서 고석만 신임집행위원장이 인사권을 빌미로 상명하달식의 운영을 해 왔다고 주장했다.
전 직원 8인은 "여러 기사에서 언급된 대로 위원장이 추진한 '행정 시스템의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해 사직한 것이 아니다"라며 "'적은 처우' 문제로 사직한 것도 아니며 위원장도 모르는 이유로 위원장에게 대항하기 위해 집단으로 사표를 낸 것도 아니다. 또한 우리는 위원장이 '진정성'을 가지고 돌아오라고 설득했으나 그 마음을 무시하고 돌아가지 않은 고집을 부린 것도 아님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사임직원들은 "신임위원장은 인사권은 위원장 고유권한이라며 이미 결정되어 있던 사항, 외부와의 약속을 포함해 진행 중인 모든 사업을 파기 내지 중단 시켰다"며 "영화제의 방향을 논의하는 테이블은 실종되고 오직 회의는 위원장의 일방적인 업무지시를 하달 받고, 실현 가능성 여부와 무관하게 무조건 계획, 집행하는 단위로 전락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선정한 영화 수십 여 편과 디지털 삼인삼색, 숏숏숏 프로젝트의 감독 선정을 추진하겠다고 보고하자 이 일이 영화제의 정체성과 맞는지 객관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프로그램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중지시켰다"며 "언론의 기사에는 마치 우리가 최소한 행정시스템을 요구 했음에도 그것을 고치기 싫어하거나 의지가 없었던 것처럼 얘기되고 있지만 절대 그렇게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전주국제영화제 사임 직원 8인은 마지막으로 "위원장은 우리 오랫동안 일했던 전주국제영화제와 영화제의 정체성을 송두리째 흔들어 버리려고 했다"며 "고석만 위원장에게 간곡히 부탁한다. 전주국제영화제는 위원장 개인의 것이 아니다. (중략)지난 2달간 일했던 우리가 최소한의 명예를 지킬 수 있게 해 달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