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다른 길이 있다'

누구나 자신만의 고민과 고통을 안고 살아간다. 누군가는 그것을 크게 불평불만하고, 또 어떤이는 '다 그러려니' 체념하고 살아간다. 그리고 또 다른 사람은 모든 것은 참고 꾹꾹 누르다가 펑, 하고 터져 버린다.
조창호 감독의 영화 '다른 길이 있다'는 그렇게 고통을 참고 살던 사람들이 자신의 생을 마감하기로 결심하고, 죽음을 준비하기까지의 이야기다.
한 채팅 사이트에서 만난 두 남녀는 각각 흰새와 검은새라는 아이디로 동반자살 계획을 세운다. 인터넷으로 자살 방법을 모의한 두 사람은 정해진 시간, 춘천에서 만나 함께 세상을 떠나기로 한다. 그렇게 두 사람이 자살을 결심한 후에, 영화는 그들의 고통을 조금씩 보여준다.
검은새 수완(김재욱 분)은 나약한 경찰관이다. 어릴 때 엄마의 죽음을 목격한 뒤 그 트라우마를 안고 사는 인물. 아버지는 정신병원에 입원해 있다. 또 헤어진 여자친구를 잊지 못하고 괴로워 한다. 자기 연민, 자신의 고통에 빠져 살다가 혼자 죽기 외로워 동반 자살을 결심한다.

흰새 정원(서예지 분)의 삶도 괴롭다. 결혼식, 개업식 등의 이벤트 도우미로 일하는 정원은 퇴근 후에 전신마비로 누워있는 엄마를 돌본다. 언뜻 평범해 보이는 삶이지만, 그녀의 삶 속에는 극심한 가정폭력이 있다. 이벤트 도우미 회사의 사장인 자신의 아버지는 전신마비인 엄마를 대신해 딸을 성적으로 이용한다. 마치 자신이 두 여자를 두 여자를 먹여 살리는 자비라도 베풀듯, 엄마의 방에는 얼씬도 하지 않고 딸의 침대 속으로 들어간다. 언제부터였는지 모를 이같은 성적 학대를 정원은 말 없이 받아들인다. 그는 괴로운 고통 속에서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자살하기로 한다.
이처럼 삶이 괴로운 두 남녀는 '자살'이라는 목적으로 만나기로 계획한다. 동반자살을 앞두고 약속이라도 한 듯 이틀 먼저 춘천을 찾은 두 사람은 소양강 유람선에서 서로를 처음 만난다. 인터넷 채팅으로 동반자살의 모의 한 두 사람은 서로의 이름도, 얼굴도 모르기에 알아보지 못한 채 지나친다. 그러던 다음날, 두 사람은 뜨락이라는 한 라이브 카페에서 다시 한 번 만난다. 서로가 누군지 모르지만, 서로의 고통을 알아본 두 사람은 만나서 같이 밤을 보낸다.
동반자살을 앞두고 서로 우연히 만난 수완과 정원은 서로의 고통을 알아본 뒤 희망을 보게 됐다. 고통스러운 삶은 살던 두 남녀가 죽음 앞에서 본 희망을 통해 관객에게도 '희망'이라는 메시지를 던진다.

김재욱은 나약하고 착한 수완 캐릭터를 차분하게 보여준다. 세련된 외모의 김재욱은 외모에서 풍기는 날카로운 이미지를 지우고 섬세한 연기로 눈길을 사로잡는다. 서예지의 모습도 새롭다. 서예지는 자신의 트레이트 마크인 중저음의 보이스로 캐릭터의 중심을 잡으며 고통 속에서도 밝게 살아가는 정원으로 변신했다. 극단적인 고통 속에서도 차분하게 일상을 살아가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서예지에게 이런 면이 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김재욱은 직접 얼음 호수위에 올라가서 연기하는 등 위험을 감수하며 촬영을 진행했다. 서예지 역시 직접 택시 안에서 연탄가스를 마시며 리얼리티를 살렸다. 두 배우의 노력에 감각적인 조창호 감독의 연출이 더해져 마음 깊은 곳에서 울림을 주는 영화로 만들어졌다.
김재욱 서예지의 다른 모습을 보고 싶다면, 끝에 선 사람들이 희망을 찾는 모습이 궁금하다면 극장을 찾아도 좋을 듯 하다. 1월 19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