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공작'이 국내서 첫 공개 됐다. '공작'은 총소리 없는 실화 액션으로 시선을 사로잡았다.
31일 오후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영화 '공작'(감독 윤종빈) 언론배급시사회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황정민 이성민 조진웅 주지훈 윤종빈 감독이 참석했다. 90년대 실제 있었던 북풍 공작 사건을 모티브로 했다.
영화 '공작'은 1990년대 중반 흑금성이라는 암호명으로 북핵의 실체를 파헤치던 안기부 스파이가 남북 고위층 사이 은밀한 거래를 감지하며 벌어지는 실화 첩보극.
이날 국내에서 첫 공개 된 '공작'은 우리나라에서 벌어진 실화와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해 관객의 눈을 사로잡았다. 90년대 중반 남북한의 무드와 정치권 분위기, 그 당시 있었던 실제 사건들을 영화에 녹여내 긴장감을 높였다.
황정민은 실존 인물인 흑금성 캐릭터를 연기한 소감을 묻는 질문에 "감독님에게 이런 사실을 이야기 듣게 되고 나서 대본을 처음 받았을 때 제일 처음 든 생각은 '헐'이었다. 아니 도대체, 제가 90년대를 안 살았던 사람이 아니고 90년대를 잘 살았기 때문에 그 시대를 모르고 지났던거 자체가 제 스스로에게 창피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황정민은 "그 자체가 뉴스화 되지 않고 슥 지났던거 자체가 놀랍다. 저 말고 모르는 사람들에게 이 이야기를 알려야겠다고 생각했다"라며 "흥미를 떠나서 저에게 중요한 계기가 됐다"라고 전했다.
실제로 흑금성을 만났다는 황정민은 "그 분을 따라하려고 그런게 아니라, 정말 얼굴이 궁금해서 보고 싶었다. 실제로 만났는데 제가 그 분이 겪은 일을 알고 봐서 그런지 감정이 남달랐다"라고 설명했다.
윤종빈 감독은 "원래 다른 이야기를 하려고 안기부를 취재하다가 흑금성이라는 스파이 알았다. 너무 충격적이었고, 일차적으로 호기심이 갔다"라며 "정말로 우리나라에 이런 스파이가 있었었나 그 호기심으로 조사를 시작했다. 조사를 하면서 더욱 관심이 갔고, 이런 사실에 기반한 리얼한 첩보극을 만들어보고싶다는 생각으로 이어졌다"라고 말했다.
이어 윤 감독은 "(실제 흑금성에게)어렵게 수소문해서 연락드렸더니 수감 중이었다. 가족 통해서 영화 하고싶다는 의견 전달하고 만들게 됐다. 이 영화 통해서 전달하고 싶었던 것은 남과북이라는 한반도의 비극이 지금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원인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무엇을 위해서 우리가 싸우고 있는 것인가 하는 질문을 국민들에게 던지고 싶었다"라고 설명했다.

윤종빈 감독은 "많은 분들이 첩보 액션이라고 하면 '미션 임파서블'이나 '본' 시리즈를 떠올리지만 그와 반대 지점에서 첩보액션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이렇게 했다"라고 전했다.
영화가 90년대 실제 사건과 정부에 의해 조작됐다고 알려진 흑금성 사건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만큼, 영화 개봉 후에 여러가지 반응이 쏠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윤종빈 감독은 "박근혜 정권 때 영화계 블랙리스트라는 것은 공공연하게 있다. 그래서 이 영화의 대본을 쓸 때 주변에서 많이 걱정했다"라며 "원래 제목은 '흑금성'이었다. 외부에 알려지면 안될 것 같아서 '공작'으로 했는데 그게 제목이 됐다"라고 밝혔다.
윤 감독은 "저희가 촬영을 한 달 앞뒀을 때 촛불정국 탄핵정국이었다. 만들고 생각하자. 그런데 만들고 나서 남북 상황이 너무 안 좋아서 어떻게 하나 걱정하기도 했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만큼, 지난 2005년 북한 배우와 함께 광고 촬영을 진행했던 이효리가 깜짝 출연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과연 '공작'의 스타일리시한 첩보 액션이 관객을 사로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편 '공작'은 지난 5월 제 71회 칸국제영화제 미드나잇 스크리닝 부문에 상영되며 세계 무대에서 먼저 주목받았다. 오는 8월 8일 개봉한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