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tarnews Logo

특전사 하사 2명 사망한 '포로체험 훈련'은 어떤 훈련?

특전사 하사 2명 사망한 '포로체험 훈련'은 어떤 훈련?

발행 :

김지현 인턴기자
특전사 하사 2명이 사망한 증평에 있는 제13공수특전여단의 정문./ 사진=뉴스1
특전사 하사 2명이 사망한 증평에 있는 제13공수특전여단의 정문./ 사진=뉴스1


충청북도 증평의 제13공수특전여단 예하부대에서 훈련 도중 특전사 하사 2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해 해당 사고의 원인이 된 훈련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뉴스1에 따르면 사고는 2일 오후 10시 40분께 '포로체험 훈련'을 진행하던 중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하사 이모(23)씨와 조모(21)씨가 사망했다. 두 하사는 부대 내 모의훈련장에서 포로체험 훈련을 받던 중 질식사로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


훈련은 적군에게 포로로 잡혔을 경우에 대비한 대응의 일환으로 알려졌다. 훈련은 포로로 체포된 상황에서 무릎을 꿇은 상태로 팔을 뒤로 결박당한 채 머리에 주머니를 씌우고 1시간 이상 버티는 형태로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1이 양욱 한국국방안포보럼 연구위원과 진행한 인터뷰에 따르면 해당 훈련은 'SERE훈련(생존:Survival, 도피:Evasion, 저항:Resistance, 탈출:Escape)'으로 부대원이 후방에 고립됐을 경우 생존하는 방법과 탈출, 도피방법, 포로로 붙잡혔을 때 고문을 견디는 방법 등을 교육시키는 내용이다.


양 위원은 "해외에서는 특전 요원이라면 당연히 거쳐야하는 관문이다"며 "워낙 고위험성의 훈련이라 교육하는 교관도 경험이 많아야 할 뿐더러 강력한 안전 통제가 수반돼야한다"고 말했다.


해외에서 위 훈련을 실시할 시 결박 시간을 제한하는 등 철저한 관리 감독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고 양 위원은 설명했다.


특전사 정훈공보부 측은 "이번 훈련은 오는 15일부터 실시될 본 훈련을 위한 예행훈련 성격이었다"며 "위험한 훈련인만큼 준비를 많이 했는데 치밀하지 못했던 점이 있었던 것 같다"고 밝혔다.


특전사 하사 2명이 사망한 훈련과 관련된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특전사 하사 2명사망.. 위험한 훈련이군", "안전관리가 제대로 안돼서 특전사 하사 2명 사망이라니", "특전사 하사 2명 사망, 정말 안타까움 죽음이다" 등 안타까움을 표현했다.


주요 기사

    -의 인기 급상승 뉴스

    -의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