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고형암을 추적·치료할 수 있는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했다.
뉴스1 26일자 보도에 따르면 전남대 박석호 교수 연구팀이 고형암 추적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면역세포 중 하나인 대식세포 기반의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고형암은 고형장기에 발생하는 암으로, 대장암, 유방암, 위암, 간암, 췌장암 등이 있다.
대식세포는 면역세포의 일종으로, 말초 혈액뿐만 아니라 골수, 간, 폐, 장 등 대부분의 장기 내에 존재하고 외부 병원체 등의 침입 시 가장 먼저 방어 작용에 동원된다.
기존 고형암 치료는 종양 조직에 오래 잔류하는 특성을 지닌 나노파티클(이하 NPs)을 사용한 약물 전달체를 혈관에 침투시켜 종양 조직을 사멸시키는 방법을 사용했지만 혈관을 통해서만 약물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했다.
이에 연구팀은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해 기존의 NPs를 이용한 약물전달 체계와 면역 세포의 한정적인 치료 방식을 극복했다.
이 로봇은 산화철(Fe3O4)이 탑재돼 외부 자기장에 의해 능동적으로 종양 주변부까지 표적이 가능하고, 자체 암 지향성을 지닌 대식세포를 기반으로 종양 중심부를 표적할 수 있다.
항암제를 탑재한 대식세포 기반 마이크로로봇은 항암제의 효율적 도달과 대식세포의 초기면역반응에 의해 더 효과적인 암 치료가 가능하다.
또 대식세포를 약물 전달체로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 면역세포의 치료 과정 중에 발생하는 저장, 활성화, 암 항원에 의한 표적화 등의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효율적이다.
연구팀은 면역세포를 이용한 마이크로 로봇 연구가 향후 세계적 의료용 로봇의 주된 연구방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교수는 "면역세포를 이용한 방식은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기에 향후 자기장 구동기술과 결합돼 더욱 진보한 항암 치료제 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6월 27일 세계 3대 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