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러머 겸 크리에이티브디렉터 남궁연이 꿈을 위해 대학교를 그만뒀던 이유를 공개했다.
남궁연은 17일 오후 3시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M센터에서 진행된 케이블 채널 tvN ' 대학토론배틀 시즌4' 강연회에서 심사위원으로서 참석해 대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눴다.
'너를 위한 MSG(메시지)'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날 강연회에서 남궁연은 100명의 대학생들에게 삶의 조미료가 될 수 있는 실질적인 조언을 건넸다. 두 사람은 "꿈을 향한 여정에는 스펙 말고 필요한 것들이 많다"며 자신의 삶 속에서 발견한 통찰력의 비밀을 공개했다.
강단에 오른 남궁연은 '말아먹은 나의 20대, 무엇이 문제였는가'라는 제목을 통해 대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했다. 그는 '명사만 가득한 삶'이라는 부제를 내 걸며 인생의 목표에 명사만 쓰지 말고 형용사를 함께 생각하라고 조언했다.
대학시절 수업시간 "드러머가 되는 것이 꿈"이라고 밝혔다는 남궁연은 교수님으로부터 "그럼 드러머가 되고나면 꿈이 없어지는군요"라는 답을 듣고 생각의 전환을 하게 됐다. 남궁연은 이 일을 계기로 학교를 그만둔 뒤 집에 돌아와 자신의 꿈에 형용사를 붙이기 시작했다.
남궁연은 "많은 이들이 자신의 꿈을 명사로만 생각한다. 그런데 그게 중요한 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형용사 노트에 내 꿈인 드러머를 적고 하나씩 형용사를 붙였다"고 말했다.
그는 "처음엔 '죽이는 드러머'라는 형용사를 생각했다. 그렇다면 연습을 많이 해야하고 멘토가 필요했다. 그때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김광민 선생님을 찾아 배움을 얻었다. 이를 통해 드러머가 되는 자양분을 얻었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둘째는 '곡도 쓸 줄 아는 드러머'가 되고 싶다고 생각했더니 작곡 프로그램과 악기를 구입 해야겠더라. 셋째는 '프로듀싱도 하는 드러머'였고, 이를 위해 앨범 제작 과정과 믹싱 등을 공부해야 됨을 알았다"고 덧붙였다.
남궁연은 "내가 '죽이는 드러머'를 생각했듯이 처음에 나오는 형용사는 유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계속 써 나가다 보면 내가 꿈을 이루 기 위해 꼭 필요한 것들을 깨닫게 된다"고 설명했다.
남궁연은 특히 자신의 20대 경험을 바탕으로 "내 젊은 시절 고질적인 문제들을 돌아보니 세 가지 가 있었다. 그것은 선택을 위한 고민을 했다는 것과 준비를 위한 준비를 했다는 점, 그리고 실패를 두려워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같은 과거의 습관들을 근거로 삼아 대학생들에게 "선택을 위한 고민이 아닌 실행을 위한 고민을 하라, 다음 주 월요일도 결국은 '오늘'이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라"고 충고했다.
한편 남궁연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는 '대학토론배틀'은 대학의 토론문화를 이끌기 위해 기획된 국내 최초의 글로벌 토론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시즌4에는 130여 개 대학 출신의 국내외 대학생 700여 명이 참가했다. 수상자에게는 총상금 2000만원이 주어지며 베스트 스피치 3인에게는 CJ그룹 입사 시 특전이 주어진다. '대학생, 토론을 시작하다'라는 슬로건을 내건 이번 시즌4는 오는 28일부터 매주 월요일 오후 5시 6주간 방송 된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