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복제견 메이의 죽음에 대한 이유를 탐사하며 비윤리적 복제견 연구를 지적했다.
11일 오후 방송된 SBS 시사교양 프로그램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비윤리적 복제견 연구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지난달 공항에서 농·수산물 탐지견으로 활동하던 메이가 서울대 수의과대 동물실험으로 인해 폐사했다는 의혹을 동물보호단체가 제기했다.
황우석 박사의 제자인 이병천 교수는 복제늑대를 탄생시켰고 형광빛을 내는 복제견을도 탄생시켰다.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이 따라다녔던 이병천 교수는 국책 연구도 여러 건 맡았었다. 이병천 교수팀은 10년간 약 62억 원 규모의 복제견 연구사업을 진행했다.
취재진은 이병천 교수와 비슷한 연구를 하는 곳이 있다는 제보를 받았고 그곳을 조사한 결과 황우석 박사의 연구소였다. 제보자는 "복제견보다 도사견이 더 많았다", "복제견을 실험하기 위해 비좁은 철장 안에서 대기하는 도사견이 너무 많았다"고 말했다. 이렇게 실험의 용도를 마친 개들은 다시 식용으로 개농장으로 돌아가는 정황도 목격됐다.
동물보호단체에서는 "우리나라는 동물인권에 대한 인식이 낮기 때문에 도사견들을 값싸게 무한 공급받을 수 있는 환경이다"고 말하며 안타까워했다. 한국의 과학자들이 복제견 연구에서 세계적으로 앞서는 것은 한국의 식용견 문화의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
도사견들은 연구를 위해 하루에도 수십번씩 피를 뽑아야 했다. 이런 비윤리적인 현실의 대안으로 3R 원칙이 있었지만 무용지물이었다. 애초에 국책 사업을 선정할 때 윤리적 기준으로 선별하지 않는다면 차후에 비윤리적이라는 이유로 선정된 국책 사업을 뒤집기 힘들다는 것이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