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황우석 박사와 이병철 교수의 비윤리적 복제견 연구를 지적했다.
11일 오후 방송된 SBS 시사교양 프로그램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비윤리적 복제견 연구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지난달 공항에서 농·수산물 탐지견으로 활동하던 메이가 서울대 수의과대 동물실험으로 인해 폐사했다는 의혹을 동물보호단체가 제기했다. 이에 따르면 메이는 서울대 수의과대에서 실험을 받은 후 갈비뼈가 앙상하고 성기가 비정상적으로 커진 모습으로 나타났다.
황우석 박사의 제자인 이병천 교수는 복제늑대를 탄생시켰고 형광빛을 내는 복제견도 탄생시켰다.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이 따라다녔던 이병천 교수는 국책 연구도 여러 건 맡았었다. 이병천 교수팀은 10년간 약 62억 원 규모의 복제견 연구사업을 진행했다.
취재진은 이런 이병천 교수와 연락이 되지 않자 그의 연구실로 찾아갔다. 하지만 연구실에서 나오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이병천 교수와 관련된 이야기에 대답할 수 없다고만 말했다.
한편, 취재진은 서울대 수의대 건물 앞을 지키다 낯선 차량을 만나게 됐다. 그 차량의 운전자는 일주일에 한두 번 이상 와서 서울대 수의대 00-1건물 주변을 맴돌다 연구원에게 무언가를 넘겨주고 건네받았다. 익명의 목격담에 따르면 그 차가 지나가면 주변에 비린내가 진동한다고 말했다.
그 차를 추적한 결과 도착한 장소는 대규모 개농장이었다. 개농장주와 인터뷰를 시도했지만 이병천 교수에 대한 질문에는 입을 굳건하게 닫았다. 다만 "어차피 국가에서 실시하는 사업이고 탐지견을 위한 일을 하는 것이다", "식약처에서 답변도 받은 일이다"는 말을 남겼다.
제보자는 일부 복제견들은 업무 수행능력이 떨어지거나 발작 증세 또는 정형행동을 보인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병천 교수의 연구사업은 '훈련 합격률 100%'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에 취재진은 제보자의 제보를 기반으로 검역기관과 이병천 교수의 유착이 있는 것이라는 의문을 제기했다. 금전적 거래가 오고 갔는데 과연 객관적 연구결과 평가가 가능했는지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했다.
취재진은 황우석 박사의 신화에 윤리적 문제를 처음으로 제기했던 유영준 교수를 만났다. 유영준 교수는 "정부적 확실한 대체가 필요하다", "공익제보자들이 만약 진실의 문을 열어준다면 세금이나 여러 윤리적 문제의 해결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고 이병철 교수의 사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밝혔다.
취재진은 메이의 죽음이 복제견 연구의 윤리적 문제를 수면 위로 끌어올린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정부 각 처의 변화된 모습과 공익제보를 촉구했다.
취재진은 제한된 제보 속에 이병천 교수의 복제견 연구에 대한 문제를 밝히려 노력했다. 지난 2005년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만든 황우석 박사의 사안과 같은 학계의 비윤리적 연구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기 위해서였다.
제한된 공익제보자들의 제보를 찾아가다 보면 이병천 교수의 연구는 식용견 개농장과의 연결고리, 복제견 평가기관과의 유착, 도사견의 비윤리적 처우와 같은 문제가 줄줄이 따라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관련자들은 입을 닫거나 국가적 사업이기 때문에 자신의 책임이 아니라는 대답을 했다. 이런 답답한 상황 속에서 취재진은 다른 공익제보자들의 제보가 계속되어 더 큰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기를 바랐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