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 감독 |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 계엄 선포 사태 이후 정국이 혼란한 가운데, 탄핵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영화인들도 모여서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에 한 목소리를 냈다.
7일 영화인 연대는 '윤석열 퇴진 요구 영화인 일동'이라는 이름 아래 '내란죄 현행범' 윤석열을'내란죄 현행범' 윤석열을 파면, 구속하라는 성명을 냈다.
영화인 1차 긴급 성명을 낸 윤석열 퇴진 요구 영화인의 성명 연명기간은 지난 5일 오후 5시부터 6일 자정까지로 이 기간동안 총 77개의 단체, 총 2518명의 개인이 뜻을 함께 했다.영화 감독과 배우는 물론 일반인 관객들의 서명도 받았다. 연명 참여자 활동분야는 관객이 27.9%로 가장 많고 이어 영화감독 21.1%, 영화 전공/비전공 학생 20.5%, 제작분야 19.6%, 평론가/활동가/배급/마케팅/영화제 등 영화인 12.7%, 영화배우 7.9%) 순으로 총 2518명이다.
참고 명단으로는 봉준호 감독을 비롯해 민용근 감독 장준환 감독 정지영 감독, 변영주 감독 배우 문소리 등이 이름을 올렸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7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열린 '내란죄 윤석열 퇴진! 국민주권 실현! 사회대개혁! 국민촛불대행진'에서 시민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12.07. jhope@newsis.com /사진=정병혁 |
영화인 연대는 "작금의 혼란한 상황을 극복하고, 추락한 대한민국의 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제1의 전제조건은 윤석열의 대통령 직무수행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탄핵이 가장 빠른 길이라면 탄핵을 선택해야 할 것이고, 그 이외에 파면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가장 신속한 길을 찾아야 할 것이다. 생방송을 통해 만천하에 내란죄 현행범임이 밝혀진 윤석열과 국방부장관을 비롯한 계엄세력들의 구속 및 단죄는 타협 불가능한 자명한 수순이다"라며 "이제 대한민국의 영화인들에게 윤석열은 더 이상 대통령이 아니다. 내란죄의 현행범일 뿐이다. 신속하게 윤석열의 대통령 직무를 정지시키고, 파면·구속하라"라고 요구했다.
이에 앞서 지난 5일에는 영화산업 위기극복 영화인연대가 먼저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성명을 밝표했다.
영화인연대는 5일 성명을 내고 "윤석열은 퇴진하라! 우리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표현의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싸울 것이다"라고 밝혔다. 연대는 "12.3 비상계엄 선포는 전 국민에게 지울 수 없는 끔찍한 악몽이었다. 국회는 즉시 윤석열을 탄핵하라. 대한민국 군대가 국회를 짓밟도록 한 12.3 비상계엄은 반헌법적 행위이며, 정쟁의 대상이 아니다. 국회는 즉시 여야에 관계없이 윤석열 대통령을 탄핵하여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고 국가 안전을 도모하라"라며 "계엄 주도자와 부역자를 강력히 처벌하라. 제대로 청산하지 못한 과거의 유산은 이처럼 유령이 되어 찾아온다. 비상계엄의 주도자와 부역자 모두 끝까지 수사하여 먼지 한 톨만큼의 잘못도 엄중히 책임을 묻고 처벌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7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열린 '내란죄 윤석열 퇴진! 국민주권 실현! 사회대개혁! 국민촛불대행진'에서 시민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12.07. jhope@newsis.com /사진=정병혁 |
끝으로 영화인 연대는 "우리는 지난 세기 시나리오 사전 심의제와 영화 검열 폐지를 위해 투쟁했고, 표현의 자유를 쟁취했다. 우리는 한국영화를 꽃피운 표현의 자유가 억압받지 않도록 끝까지 싸울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영화산업 위기극복 영화인연대에는 한국예술영화관협회,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CGK),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PGK),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배우조합, 한국영화감독조합(DGK) 이사회, 한국영상미디어교육협회,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SGK),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 커뮤니티시네마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 지역영화네트워크,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전국독립영화전용관네트워크, 영화제정책모임, 영화수입배급사협회, 여성영화인모임, 부산영화인연대,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가 함께 포함 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