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스타일' 절반의 성공에 그친 까닭은?②

발행:
문완식 기자
사진


SBS 주말특별기획 '스타일'(극본 문지영 연출 오종록)이 20일 종영한다.


'스타일'은 '패셔니스타' 김혜수와 '한류스타' 류시원의 오랜만의 안방극장 복귀작으로 화제를 모았다.


또 기존 '패션 드라마'와 달리, 패션지(誌) '스타일'을 무대로 그간 다루지 않았던 패션지 기자들의 일상을 그려 관심을 끌었다. 이에 더해 '미크로비오틱'등 첨단 요리까지 더해 소재만으로도 시청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실제로 '스타일'은 지난 8월 1일 첫 방송부터 17.6%(TNS기준)의 시청률을 기록, 기대감을 높였다. 이어 8일과 9일에는 각각 19.5%와 19.9%의 시청률을 나타내며 방송 4회 만에 시청률 20%에 육박했다. 47.1%의 경이적인 시청률로 '국민드라마' 반열에 오른 전작 '찬란한 유산'의 성공을 금방 재현할 듯 보였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이후 '스타일'은 이후 한 번도 시청률 20%고지를 넘지 못한 채 종영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심지어 지난 13일에는 13.9%의 시청률을 나타내 주말극 1위 자리마저 내줬다.


그간 주말 안방극장은 SBS의 독무대였다. '조강지처클럽', '가문의 영광' 그리고 '찬란한 유산'까지 주말 밤 시청자들의 눈은 으레 SBS의 몫이었다.


SBS가 주말극을 점령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 '가족'을 전면에 내세운 바가 크다. 다소간의 막장(?) 요소가 있었던 '조강지처클럽'은 논외로 치더라고 이어진 '가문의 영광'과 '찬란한 유산'은 막장 없이도 드라마가 성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큰 인기를 끌었다.


결국 '스타일'의 부진은 '주말 안방극장=가족극이 대세'라는 기존의 주말극 성공 공식을 다시금 확인시켜준 셈이다.


이에 더해 '스타일' 자체의 약점도 극의 부진에 한몫했다.


동명의 원작소설을 바탕으로 했으면서도 원작의 큰 축인 박기자(김혜수 분)와 이서정(이지아 분)의 대립 구도를 명확히 살리지 못했다. 김혜수에게 맞서기에는 이지아의 경험이나 연기력이 다소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좀 더 확대해보면 김혜수, 류시원, 이지아, 이용우 등 4명의 주인공이 대립각을 세우기에는 그들 각자의 캐릭터 구축력이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곧 본격적인 멜로 라인 전개에 있어 시청자들의 극에 대한 몰입을 상당 부분 떨어뜨렸고, 시청률 저하로 이어졌다.


과도한 협찬고지(간접광고)도 문제로 지적됐다. 극 중간 중간 등장하는 간접광고 상품들이 극의 전개와 상관없는 경우가 많다는 시청자들의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어려운 제작 여건상 불가피하다고 하더라고 "차라리 광고를 하라"는 시청자들의 지적은 곱씹어 볼 부분이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극장으로 전력질주'
'10CM의 쓰담쓰담' 사랑해주세요
은중과 상연
'사마귀' 사랑해 주세요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1세대 유튜버 대도서관 사망 발견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홍명보호 미국 원정, '혼혈' 카스트로프 얼마나 뛸까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