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FULL인터뷰] '백낭' 조한철 "조성하, 실제론 농담 많이해"

발행:
한해선 기자
배우 조한철 /사진=김창현 기자
배우 조한철 /사진=김창현 기자


배우 조한철(45)에게 tvN 월화드라마 '백일의 낭군님'은 올해 큰 터닝 포인트 중 하나였다. 영화 '신과함께-인과 연'(감독 김용화, 이하 '신과함께2')에 이어 또 한 번 대체 투입된 이번 작품이 좋은 성적으로 유종의 미를 거뒀다.


조한철에게 '백일의 낭군님'은 뜻밖에 찾아온 행운의 작품이었다. 촬영 초반 음주운전으로 하차한 윤태영의 빈자리에 긴급 투입돼 연기했고, 드라마는 지난 30일 최고 시청률 14.1%(닐슨코리아, 유료플랫폼 전국 기준)를 달성하고 종영했다. tvN 역대 월화극 최고 시청률이자 역대 tvN 전체 드라마 시청률 중 4위에 등극했다.


지난 3월 대체 투입됐던 영화 '신과함께2'도 예기치 않게 굴러들어온 복이었다. 조한철은 '미투 가해자'로 지목돼 하차한 오달수 대신 판관 역으로 분했고 영화는 12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 '천만 영화'의 참여 배우로 필모그래피를 남겼다.


조한철은 31일 오전 '백일의 낭군님' 종영 인터뷰에서 "인생에 터닝포인트가 별로 없었다"고 말했지만 "'백일의 낭군님'은 잊을 수 없는 작품"이라고 전했다. 그는 극 중 세자 이율(도경수 분)의 아버지인 왕 선종(능선군 이호)으로 분했다. 반정의 주축 김차언과 거래를 하면서도 자괴감에 휩싸이는 위태로운 왕을 연기했다. 작품 성적으로나 역할로나 '백일의 낭군님'은 그에게 강렬한 기억으로 남았다.


배우 조한철 /사진=김창현 기자


-'백일의 낭군님'이 막 어제(30일) 종영했다. 소감은?


▶ 끝나고 아쉬움이 많았다. '더 잘했어야 했는데' 싶다. 항상 작품이 끝나면 드는 생각이다.


-마지막 장면은 이율과 홍심(남지현 분)의 재회로 끝이 났다. 엔딩은 어떻게 봤나?


▶ 율이 홍심이를 송주현에서 만나고 끝난 게 자연스럽고 근사한 것 같았다. 둘의 엔딩에 대해서는 너무 화려한 것보다 그 정도 선이 마음에 들었다.


-퓨전사극 속에서 왕의 톤을 어떻게 유지하려 했나.


▶ 대본에서도 궁에서와 송주현에서의 대사 톤이 많이 달랐다. 송주현은 현대적인 말도 쓰고 밝은데 궁에서는 암투도 벌어지고 어두웠다. 서로 다른 색깔이 한 작품 안에 들어있어서 내가 어떤 톤을 가지고 가야할지 고민이 많았다. 정통 사극 톤을 유지하면 맞을지 고민됐다. 처음에는 힘을 빼고 가볍게 연기 해야하나 생각했지만 그러면 오히려 이 작품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았다. 마냥 가벼워지기 쉽지는 않더라. '나대로 하자'는 생각을 하고 상황에 맞게 연기했다. 결과가 좋아서 다행이다.


-기존의 왕과 어떤 차별점을 두고 연기했나.


▶ 왕 역할은 처음이다. 나도 이전의 왕들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선종은 절대 권력을 가지지 않아 위태로운 왕이었다. 공부를 해보니 연산군을 제외하고 자기 마음대로 살았던 왕이 없더라. 선종은 김차언에 의해 내쳐질 수 있는 불안을 안고 있어야 했다. 한편으로는 그 권력을 지키려는 모습을 보여주면 위태로움이 커보일 거라 생각했다. 집착, 강박으로 불안을 보여주려 했다. 정말 많이 소리 지르고 힘을 줬다. 어떨 땐 뒷목이 당기기도 했지만 나는 목청이 기본적으로 튼튼하다.(웃음)


-마지막회에서 김차언(조성하 분)이 예상보다 쉽게 죽은 것 같다.


▶ 왕이 당한 게 많아서 좀 더 괴롭혀주고 죽여야 했나 싶기는 하다.(웃음)


배우 조한철 /사진=김창현 기자


-촬영 현장에서 실제 조성하는 따뜻한 배우라고 소문났던데.


▶ 성하 형은 자신의 출연료에서 상당 부분을 삼계탕, 회, 아이스크림 등 주변 배우들과 스태프들이 먹는 데에 쓰셨다. 저희를 아끼는 진심이 너무 느껴져서 감사했다. 또 성하 형이 농담도 많이 했는데 일보러 빈틈 있는 큰 형을 보여주기 위해서 그랬던 것 같다. 칭찬도 많이 해주시고 후배들이 더 좋은 연기를 펼칠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어줬다. 감사한 현장이었다.


-촬영 면에서 '백일의 낭군님'만의 차별점은 무엇이었나.


▶ 감독님이 유한 분이었지만 그러면서도 작품에 대한 욕심이 많으셔서 어떤 중요한 장면은 굉장히 여러컷을 찍기도 했다. 시청자들은 일반 드라마에서 보지 않았던 앵글을 보셨을 거다. 완성도가 좀 더 있었던 것 같다. 사전 제작을 하면서는 배우 입장에서도 대본이 넉넉하게 나와 있으니 더 고민해서 연기할 수 있었다. 그래서 송주현 쪽은 애드리브도 많이 들어갔다. 개인적으로 사전제작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현장 분위기도 더 좋고 시간적인 여유가 있을 것 같다.


-이번 작품에 대한 애정이 느껴진다.


▶ 사실 살면서 인생에 큰 터닝 포인트는 없었던 것 같다. 나는 그냥 자연스럽게 온 것 같다. 중간 중간 고마운 분들도 많았다. 어떤 작품을 하게 된 이유는 그전에 또 다른 작품이 있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작품이 이어진 것 같다. 너무 갑자기 잘 돼도 불안할 것 같다. 최소한 근거가 있는 안에서 잘 됐으면 좋겠다. 그렇지 않으면 스스로도 불안한 것 같다. '백일의 낭군님'의 왕도 내가 애정하는 캐릭터들 중에 하나다.


-왕까지 도전했다. 앞으로 해보고 싶은 새로운 캐릭터가 있을까.


▶ 왕까지 연기해서 앞으로 맡을 캐릭터가 부담되는 건 있다. 지금은 나이가 먹으면서 주름도 생기고 얼굴에 개성이 생긴 것 같은데, 예전에 연극할 때는 그렇게 개성 있는 얼굴이 아니었다. 하지만 그래서 다양한 캐릭터를 연기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또 다른 모습을 보여드려야 할 것 같아 부담이 되면서도 내가 맡을 새로운 캐릭터가 기대된다.


-11월 방영하는 차기 드라마 KBS 2TV '죽어도 좋아'에서는 어떤 역할을 보여주는가.


▶ 코미디 판타지 오피스물이다. 이번엔 좀 얄미운 인사팀장 역을 맡았다.


-연극도 여전히 애정이 있지 않나. 어떤 계기로 연극부터 연기생활을 시작했나.


▶ 중학교 3학년 때 성당을 다니면서 선생님들이 연극을 보여주러 다녔다. 그 때 연극을 처음 보고 배우를 하기로 결정했다. 황지우 선생님 시로 만든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라는 연극을 봤는데 그 때 강신일, 박미경, 문성근, 류태호 선배가 공연한 걸 봤다. 그 때 큰 감명을 받고 이후로 주말이 되면 대학로를 가서 연극을 봤다. 한예종을 간 것도 그 때 선생님들이 대부분 그 곳에 계셨기 때문이다.


-앞으로 어떤 배우로 기억되고 싶은가.


▶ 내가 '리어왕'을 했다면 관객들이 최소한 집에 돌아가면서 아버지에게 전화라도 드릴 수 있는 정도의 영향을 주고 싶다. 그렇게 작은 실천을 만드는 배우가 되고 싶다. 연극을 작년에 오랜만에 했는데, 앞으로도 병행하면서 계속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정규편성으로 돌아온 '서장훈의 이웃집 백만장자'
BTS 정국 '반짝이는 눈빛'
유다빈밴드 '2집으로 코다'
'아이브 동생그룹' 아이딧, 프리데뷔 마치고 정식데뷔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방시혁, '1900억 부당이득 의혹' 경찰 조사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LA 손흥민 신드롬' MLS 2호골 폭발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