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C 박성제 사장이 도쿄 올림픽 중계 사고를 파악 중이라 밝혔다.
박성제 사장은 26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에서 도쿄올림픽 중계 중 벌어진 방송 사고에 대한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을 가졌다.
박성제 사장은 자막 논란이 일어난 구체적인 사고 경위와 해결 방식에 대해 "1차 조사가 끝난 상황이다. 어떤 분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조사했다"라며 "그러나 개막식 방송에서 일한 분이 많기 때문에 중계방송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자세하게 조사를 할 수 없다"라고 했다.
이어 "정밀 조사가 추가돼야 후속 조치가 나올 것이고 그에 대한 징계가 나올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박성제 사장은 "일부는 업무에서 배제됐고 일부는 조사 결과에 따라 징계를 할 예정"이라며 "더 강도 높은 진상 조사 위원회가 결성될 것이다. 가장 빠르고 철저한 조사가 되도록 하겠다"라며 "이러한 상황이 재발되지 않도록 올림픽 정신과 가치에 대한 교육과 시스템을 강도 높게 바꾸고 올해부터 착수하겠다"라고 말했다.
MBC는 지난 23일 2020 도쿄올림픽 개막식 중계 방송 중 우크라이나 선수단이 입장할 때 체르노빌 원전 사진을 자료화면으로 첨부하는가 하면, 엘살바도르에 대해 비트코인 이미지를, 아이티에는 대통령 암살 관련 자막과 현지 폭동 사진을, 시리아에 대해선 내전, 마셜 제도는 미국 핵실험장이라고 소개해 비하 중계로 논란이 됐다. 또한 MBC는 아프카니스탄의 자료 사진으로 양귀비를 당나귀에 싣고 가는 모습, 루마니아의 대표 사진으로 드라큘라, 노르웨이의 대표 사진으로 연어를 첨부해 논란이 됐다.
MBC는 지난 24일 "해당 국가 국민과 시청자 여러분께 정중히 사과드린다"며 "문제의 영상과 자막은 개회식에 국가별로 입장하는 선수단을 짧은 시간에 쉽게 소개하려는 의도로 준비했지만, 당사국에 대한 배려와 고민이 크게 부족했고, 검수 과정도 부실했다. 변명의 여지가 없는 잘못"이라고 공식 사과문을 올렸다.
그러나 MBC는 지난 25일 남자 축구 조별리그 B조 2차전인 한국과 루마니아의 경기를 중계하면서, 자책골을 넣은 루마니아의 마리우스 마린 선수를 놓고 '"고마워요 마린" 자책골'이라는 자막을 사용해 상대팀 조롱 논란까지 불거졌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