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진통제, 알고 쓰는게 현명

발행:
채준 기자
사진

진통제는 통증 완화에 사용되는 약물 전체를 일컫는 말이다. 먹는 알약, 근육 주사, 혈관주사 등이 있고, 투여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작용한다. 이는 감각을 완전히 마비시키는 마취제와는 다르다.


진통제에는 아세트 아미노펜과 비스테로이드 성 소염 진통제(NSAIDs), 모르핀과 옥시코돈과 같은 아편 유사 제제가 포함된다. 진통제 선택은 통증의 강도와 유형에 따라 결정된다. 종류를 알아보면 첫 번째로 Paracetamo) 아세트 아미노펜 (acetaminophen) 또는 APAP라고도 알려져 있다. 주로 통증과 열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일반적으로 경증부터 중등도의 통증에 사용된다.


관절염이나 허리 디스크가 있을 때 병원에서 많이 처방을 받는 비 스테로이드성소염제(NSAID)도 진통제다. 통증을 줄이고 감기 걸렸을때 우리 몸의 열을 낮추는 약물이며, 고농도에서는 관절 염증을 감소시킨다. 이 약물 종류중 가장 유명한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및 나프록센은 대부분의 병원에서 처방을 받아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많은 분들이 이 약물에 대해 걱정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부작용은 많지 않으나, 장기간 복용을 할 경우 위장 출혈이 있을 수 있다.


마약 제제가 포함되어있는 오피오이드(opioid, 예 : 코데인, 옥시 코돈, 하이드로 코돈, 디 하이드로 모르핀, 페치딘) 약물도 진통제다. 운동이나 감각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며 통증이 뇌로 올라가는 통로를 차단함으로써 통증완화 작용을 나타낸다. 모든 오피오이드의 진통제는 혼란, 호흡 억제가 올 수 있고 모르핀을 시작하는 환자는 메스꺼움 및 구토, 가려움증이 생길 수 있다. 또 변비가 생길 수 있어서 변비약과 함께 처방된다. 적절하게 사용하면 아편제 및 기타 중추 진통제가 안전하고 효과적이지만 중독 및 신체에 약물 내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밖에 진통제는 아니지만 항우울제 같은 약물로는NSAIDs 및 opioids와 함께 신경 손상 통증에 사용된다. 무릎·척추전문 안산 에이스병원 정재훈 원장은 “진통제는 항상 양날의 검과 같은 성질이 있어서 남용을 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지만 잘 처방하여 사용하면 통증을 줄일 수 있고 병을 치료할 수 있다”며 “약을 사용하기 전 반드시 전문의와 본인의 상태를 잘 상의해서 처방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박보검 '전독시 보러 왔어요'
BTS 제이홉 '새앨범 기대하세요!'
아이브 '파리에서 만나요!'
아이유 '빛나는 매력'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다시 웃을 수 있길" 수해 이웃 돕기 ★기부 릴레이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손-김-이' 유럽 3총사 이적설 본격 점화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