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마라톤·조깅시 정강이 통증 조심

발행:
채준 기자
/사진제공=안산 에이스병원
/사진제공=안산 에이스병원


늦가을 철 조깅하는 경우도 많고 마라톤 대회도 여기 저기서 열린다. 건강해 지려고 무리하다 보면 자칫 잘못하다 병이 생겨 운동을 그만 두는 경우가 있다. 같이 운동을 한다고 하면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더 자주 부상이 나타난다.


정강이 통증은 일반적으로 뛰는 운동을 할 때 생기는 대표적 질환 중 하나다. 정강이 부위는 무릎과 발목 사이의 중간에 해당하며 안쪽 부위에 생기는 통증을 운동 후 호소한다. 물론 러너에서도 많이 나타나지만 군인이나 반복된 점프를 하는 운동선수에서도 많이 나타난다. 증상의 특징은 통증 양상이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나 전체적으로 넓게 퍼져 있는 통증을 느끼고 부종이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또 아프다가 휴식을 취하면 좋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원인은 생체 다리의 과부하로 인해 경골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증가되어 나타난다. 뛸 때 강도 또는 무리하게 빈도가 단시간 내에 증가하면 근육이 땅에 디딜 때 스트레스에 대해서 충격 흡수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뼈가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나타나는 병이.


종아리에 뒤에 위치하는 종아리 근육이나 발바닥 근육에 압박이 가해져 정강이 통증이 증가 될 수 있는데 특히 근육이 골막이라 하는 딱딱한 막을 통해서 뼈에 붙게 되는데 연결되는 조직이 망가지면서 뼈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오르막길, 내리막 길, 고르지 않은 지형 또는 딱딱한 표면에서 달리면 충격이 더 심해진다. 또 본인이 평발이거나 발의 아치가 반대로 경직되어있는 경우에도 병이 발생 할 수 있다.


운동 후 스트레칭이나 운동 후 정리 운동을 할 동안 통증이 사라지면 지켜 볼 수 있지만 만약 운동을 할 때 반복적으로 통증을 호소 하면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사진 촬영이나 CT 필요 시 자기 공명 촬영술 혹은 핵의학 검사를 시행 할 수 있는데 다른 병을 확인하기 위해서 시행 해 볼 수 있으나 진단은 대개는 임상적으로 추정 할 수 있다. 만약 진단이 되는 경우는 재발할 가능성이 많으므로 조기에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치료에는 급성기에는 휴식과 얼음,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은데 이유는 경골이 급성으로 스트레스에서 회복하고 염증과 통증 수준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휴식, 얼음이나 만약 통증이나 부기가 줄게 되면 점진적 활동을 통해서 운동범위를 늘여가는 시도를 한다. 종아리, 대퇴사 두근 및 둔근에 통증이 가라 앉은 후에

강화 운동을 수행해야 한다. 뛰는 운동은 일단 하지 않고 대신에 사이클링, 수영 등 개인은 짧고 낮은 강도로 시작하여 만약 통증이 좋아지면 다시 뛰는 운동을 해 보는 것이 좋다.


병이 생기기 전에 예방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쿠션이 많지 않은 신발이나 아스팔트 같은 딱딱한 바닥에 운동하는 것보다 우레탄, 흙, 잔디와 같은 다른 표면에서 달리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체중도 하나의 위험 인자이니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재훈 안산 에이스병원 원장은 “계속 통증이 있거나 심한 정도의 통증은 축구를 많이 하거나 마라토너에 생기는 종아리뼈의 스트레스 골절을 의심해 볼 수 있으니 병원을 찾아서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사마귀' 사랑해 주세요
말랑한 멜로 드라마 '마이 유스'
미야오 '인형들의 공항패션'
신은수 '매력 폭발'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12월 6일~7일 AAA-ACON 가오슝은 K컬처 글로벌 축제 한마당!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홍명보호 미국 입성, '혼혈' 카스트로프 합류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