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도서산간 통신장애 5분 내로 분석 조치

발행:
배병만 산업레저대기자
서울 서초구 KT연구개발센터에서 연구원들이 ‘닥터로렌 MW’로 네트워크를 관제하고 있다.
서울 서초구 KT연구개발센터에서 연구원들이 ‘닥터로렌 MW’로 네트워크를 관제하고 있다.

KT는 인공지능(AI)에 기반으로 둔 무선전송망(Microwave, MW) 관제 시스템인 '닥터로렌 MW'을 업계 최초로 상용화했다고 16일 밝혔다.


KT의 AI 네트워크 운용 분석 기술인 닥터로렌에 기반을 둔 닥터로렌 MW는 도서산간지역의 기후적·지형적 특성을 추가로 학습시켜 MW 네트워크 관제에 특화한 시스템이다.


기상정보와 네트워크 성능 등의 빅데이터를 특화 AI 엔진으로 실시간으로 분석, 네트워크 장애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조치 방안을 제시하는 게 특징이다.


기상정보, 네트워크 성능 등의 빅데이터를 특화 AI 엔진으로 실시간으로 분석, 네트워크 장애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조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통신 장애에 취약한 도서산간지역에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했을 때 장애 진단 및 분석 결과와 조치 방안을 비대면으로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닥터로렌 MW’는 지난해 10월부터 광주, 목포, 군산, 여수, 완도 등 전라남·북도 도서산간지역 관제 시스템에 적용돼 네트워크 장애 조치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AI 엔진 고도화로 경보 감시 시간이 1분 수준으로, 도입 전보다 10분의 1로 빨라졌다. 장애 원인 진단 및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 역시 5분으로 대폭 줄었다.


이종식 KT 인프라연구소장(상무)은 “KT는 도서산간지역에 끊김 없는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해 지리적 요인으로 인한 기술 격차를 해소할 것”이라며 “디지털 플랫폼 기업(Digico)으로서 더 많은 고객들의 삶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변화시키는 DX를 실천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내 여자친구는 상남자' 믿고 보세요
진짜 밥값하는 예능 '추성훈의 밥값은 해야지'
'2025 MTN 방송광고 페스티벌'
'트리거, 사랑해 주세요'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날마다 新역사! K팝 신화는 계속된다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손-김-이' 유럽 3총사 이적설 본격 점화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