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SK스퀘어 쪼개진다…SK텔레콤, 유영상 대표 선임

발행:
배병만 산업레저대기자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왼쪽)과 유영상 SK텔레콤 MNO 사업대표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왼쪽)과 유영상 SK텔레콤 MNO 사업대표

SK텔레콤이 1일 기존 사업에 주력하는 SK텔레콤, 그리고 반도체 등 미래 먹거리 투자에 집중하는 SK스퀘어로 나눠진다. 1984년 '한국이동통신'으로 설립된 후 37년 만에 처음으로 기업구조가 개편되는 것이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지난 12일 임시주주총회 의결에 따라 11월 1일자로 존속법인 SK텔레콤, 신설법인 SK스퀘어로 인적분할된다. SK텔레콤은 다음 달 26일까지 주식 매매거래정지 기간을 거치고, 같은 달 29일에 SK텔레콤과 SK스퀘어로 각각 변경상장, 재상장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유·무선 통신,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 등 기존 통신사업과 디지털인프라 사업을 맡는다. 구독사업과 메타버스 등 신사업을 고도화해 지난해 약 15조원이던 매출을 2025년 22조원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SK브로드밴드, SK텔링크, 피에스앤마케팅 등의 회사들이 편제됐다.


신설 SK스퀘어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정보통신기술(ICT) 위주 투자에 집중한다. 반도체기업인 SK하이닉스를 비롯해 ADT캡스, 11번가, 티맵모빌리티, 원스토어 등 16개 회사가 SK스퀘어 산하에 편입된다. 지주회사의 손자회사이다보니 공정거래법 규제로 투자 확대에 제약을 받아온 SK하이닉스의 투자 여건도 나이질 전망이다. SK스퀘어는 현재 26조원인 순자산가치를 2025년 72조원까지 키우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국내외 반도체 시장에서 공격적인 인수·합병(M&A)에도 나설 방침이다.


SK스퀘어의 최고경영자(CEO)는 박정호 현 SK텔레콤 대표가, SK텔레콤의 CEO는 유영상 SK텔레콤 MNO사업대표가 각각 맡게 됐다. 박 대표는 지난달 임시주주총회에서 "반도체·플랫폼 혁신기업 투자를 통해 성장 역량을 발휘하겠다"며 "분할 이후 '통신'과 '투자'라는 명확한 아이덴티티 아래 더 빠른 성장 스토리를 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은 1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SKT 2.0 시대'를 이끌어 갈 새로운 수장으로 유영상 이동통신(MNO) 사업대표를 선임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유 사장은 2000년 SK텔레콤 입사 이후 SK텔레콤과 SK(주) C&C에서 신사업 투자와 미래 먹거리 사업 발굴을 전담해왔다 특히 2012년 SK하이닉스 인수 실무를 총괄하는 등 SK그룹 내 신사업 발굴·M&A 전문가로 성장해왔다.


2019년부터는 SK텔레콤 MNO 사업대표로서 인공지능(AI)·5세대 이동통신(5G) 기반 유무선 통신 리더십을 확고히 하고 구독·메타버스 서비스 등 신성장 사업 발굴을 주도하는 등 대·내외적으로 회사를 이끌 적임자로 평가받아왔다.


유 사장은 "새롭게 탄생한 회사는 안정적인 정보통신기술(ICT)과 서비스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고객에게 신뢰와 사랑을 받는 기업으로 진화하게 될 것"이라며 "고객과 기술, 서비스를 중심으로 명실상부 대한민국 1등 서비스 컴퍼니다운 자부심을 지켜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온유, 정규 2집 앨범으로 솔로 컴백
차은우 '언제나 눈부신 비주얼'
새롭게 시작하는 JTBC 금요시리즈 '착한사나이'
'84 제곱미터' 기대하세요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박나래만 불참했다..김준호♥김지민 결혼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KBO 올스타 휴식기... 키움, 감독-단장 동반 경질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