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국내 우유 소비자 86%, 신선한 국내산 우유 선호"

발행:
전시윤 기자
사진

국내 소비자들은 우유를 선택할 때 '신선도'와 '맛', '품질'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유자조금관리위원회가 국내 우유 소비자 5,08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우유 섭취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86%(4,356명)가 신선한 일반우유를 섭취한다고 답했으며, 그 이유로 ▲가공도가 낮아 자연식품에 가깝고 신선해서(51.9%), ▲맛이 좋아서(51.6%), ▲품질측면에서 믿음이 가서(22.9%), ▲영양이 풍부해서(20.1%)순으로 나타났다.


신선한 국내산 우유를 섭취하는 고객들 대부분 수입산 멸균 우유를 알고 있으나 구매할 의향은 없다고 답했다.


수입산 멸균우유를 구매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일반우유를 선택한 응답자 중 55%가 수입산 멸균우유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 중 구입할 의향이 없다가 51.4%,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23%, 구입할 의향이 있다는 의견은 25.6%에 불과했다.


수입산 멸균우유 구입을 꺼리는 이유(2개 복수응답)로는 ▲원산지가 수입산이라서(37.4%), ▲유통기한이 최대 1년으로 품질에 의구심이 들어서(36%), ▲생산과정 및 유통과정의 안전성 보장이 안 돼서(32.3%), ▲첨가물에 대한 염려(24.9%)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멸균우유 소비자 층에 대한 조사도 이뤄졌다. 조사 대상자 5,088명 중 평소 멸균우유를 섭취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732명(14.4%)으로 집계됐다. 그 중 9.9%가 국내산 멸균우유를 섭취한다고 응답했으며, 나머지 4.5%가 수입산 멸균우유를 마신다고 응답했다.


국내산 멸균우유를 섭취하는 응답자에게 수입산 멸균우유를 구입할 의향이 있는 지 묻는 조사에서는 그 중 64%가 구입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2개 복수응답)로는 ▲생산과정 및 유통과정의 안정성 보장이 안돼서(38.9%), ▲우유는 기본적으로 신선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서(38.2%), ▲원유의 원산지가 수입산이라서(25.5%)라고 응답해 소비자들이 우유를 선택할 때 신선도와 안전성 보장에 관심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멸균유란 '생유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완전히 사멸시킨 우유'를 뜻하며 130도~150도 사이의 고온에서 2~5초가량 가열해 균을 100%제거한 우유다. 빛이 들어가지 않는 포장 용기에 넣어 보관하며 일반 우유보다 유통기한이 길다. 국내 멸균우유 유통기한은 12주이며, 신선우유 유통기한은 11~14일이다. 국내 멸균우유도 유통기한을 1년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안전성과 품질을 고려해 소비자에게 질 좋은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유통기한을 12주 내외로 설정하고 있다.


한편, 건국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이홍구 교수는 "국내 우유는 세균수 1A, 체세포 1등급 원유를 사용하여 제품에 표기하고 있고, 원유 검사를 통해 나온 부적합률이 0.02%(2021 상반기 기준)로 품질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반면 수입 멸균우유는 원유등급을 확인할 방법도 없고 안전성도 검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우유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 요즘, 국내 우유의 우수성과 품질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절실하며, 소비자들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무분별한 정보를 배포하기 전 수입산 멸균우유에 대한 정확한 검증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극장으로 전력질주'
'10CM의 쓰담쓰담' 사랑해주세요
은중과 상연
'사마귀' 사랑해 주세요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1세대 유튜버 대도서관 사망 발견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홍명보호 미국 원정, '혼혈' 카스트로프 얼마나 뛸까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