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솔루엠헬스케어, 서울대 보라매병원과 AI 기반 전립선암 조기진단 임상연구 착수

발행:
전시윤 기자
사진

-임상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 승인 완료… AI·대사체 분석 결합한 비침습 진단기술로 전립선암 조기발견 정확도 향상 기대


AI 기반 조기 암 진단 전문기업 솔루엠헬스케어(대표 김지희)는 서울대학교병원 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과 함께 전립선암 조기진단을 위한 전향적 임상연구에 착수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임상연구는 서울대 보라매병원 임상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을 지난 10월 16일 획득하며 공식 출발했다. 연구는 전립선암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의 소변 내 대사체(代謝體, metabolite)를 정밀 분석해 생체지표 차이를 규명하고, 이를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해 조기 암 진단의 임상적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립선암, 국내 남성암 2위… 5년간 발생률 58% 급증


전립선암은 국내 남성암 중 두 번째로 흔한 암으로, 전체 남성 암 발생의 14.1%를 차지한다. (2022년 국가암등록통계) 2022년 신규 환자 수는 2017년 대비 약 58%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국내에서 가장 빠르게 발생률이 증가한 암종으로 확인됐다.


현재 전립선암 진단의 1차 선별검사로 널리 사용되는 PSA(전립선 특이 항원) 혈액검사는 특이도가 30~50% 수준에 불과해 위양성률이 높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조직검사(생검)가 빈번히 발생하는 등 정확도와 효율성 면에서 한계가 지적돼 왔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기술과 대사체 분석을 결합한 비침습적 조기진단 기술이 차세대 진단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사체(Metabolite)란 체내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저분자 물질로, 암세포는 정상세포와 다른 대사 패턴을 나타낸다. 이러한 대사체 변화를 분석하면 혈액이나 소변 등 체액 샘플을 통해 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췌장암 등 다른 암종으로 확대… 상용화 박차


솔루엠헬스케어는 이번 임상연구를 통해 AI 기반 소변 분석 조기 암 진단 플랫폼의 임상 데이터를 확보하고, 실제 의료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진단 정확도를 검증함으로써 전립선암 조기진단의 정확성과 접근성을 대폭 향상시킬 계획이다.


김지희 솔루엠헬스케어 대표는 "이번 임상연구는 AI 기술과 대사체 분석을 결합한 차세대 조기 암 진단 기술의 임상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전립선암 뿐 아니라 조기 진단이 어려운 췌장암 등 다양한 암종을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병행 추진하고 있으며 AI·대사체 융합 기반의 비침습적 조기 암 진단 플랫폼 상용화를 단계적으로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KBS에 마련된 故이순재 시민 분향소
농구 붐은 온다, SBS 열혈농구단 시작
알디원 'MAMA 출격!'
영원한 배우 故이순재 별세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왜 하루 종일 대사 연습을 하세요?"..우리가 몰랐던 故 이순재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사상 첫 '포트2 확정' 홍명보호 최대 변수는?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