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뷰티 인사이드

발행:
김화진 서울대 법학대학원 교수
[스크린 뒤에는 뭐가 있을까](4)
사진=영화 '루시' 스틸컷
사진=영화 '루시' 스틸컷


우리 인간들은 우리의 의식이 머릿속에 위치한다고 느낀다. 눈을 통해 사물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의식을 인간의 몸 밖으로, 즉 머리 밖으로 옮기는 것이 가능할까?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Richard Feynman, 1918~1988)은 특수한 약물을 써서 자신의 의식이 자신의 몸 밖으로 나간 상태를 경험했다고 책에 쓰고 있다. 몸 오른쪽 약간 뒤편에서 자신을 보았다고 하면서 "이것은 대단히 설명하기 어렵다"고 한다. 노벨물리학상(1965년)을 받은 최고지성체인 파인만이 그랬다고 하니 실제로 그랬던 것으로 믿을 수밖에 없겠다.


'채피'(Chappie, 2015)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감독 닐 블롬캠프 작품이다. 블롬캠프는 맷 데이먼과 조디 포스터가 나오는 '엘리시움'(Elysium, 2013)의 감독이기도 하다. 여기서는 인간의 의식을 컴퓨터에 복사하고 그 의식을 다시 로봇에 심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게 되면 로봇에 동력이 계속 공급되는 한 죽지 않는 인간(?)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인간의 몸속에서 살다가 인간의 몸이 아닌 쇠붙이 속에서 사는 인생이 과연 의미가 있고 행복할까?


사진=영화 '채피' 스틸컷


이론물리학자 미치오 카쿠는 우리가 외계인을 만날 수 없는 한 가지 이유로 우리에게 접근할 수 있는 수준의 외계인은 매우 앞서가는 존재라는 것을 든다(마음의 미래, 2014). 예컨대 트랜스포머들이 온 앞서가는 문명에서는 의식을 로봇에 옮기는 것은 쉽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의식만이 존재하는 상태도 가능할 것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런 존재를 감지할 수가 없다. 집 앞마당을 기어 다니는 개미가 인터넷의 존재를 감지할 수 없듯이.


정보력과 그 분석력이 극한적으로 발달하면 의식이 특정한 장소에 존재할 필요도 없다. 뤽 베송이 감독하고 스칼렛 요한슨과 최민식이 함께 출연한 프랑스 영화 '루시'(Lucy, 2014)가 그렇게 말한다. 카쿠는 이를 물리학적으로 잘 설명하고 있다. 사실 우리는 인터넷에 나오는 정보들이 지구 상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만 어떤 특정한 장소에서 유래하는지는 모른다. 즉, 어디에나 있지만 어디에도 없는 것이다.


사진=영화 '트랜센던스' 스틸컷


조니 뎁이 나오는 '트랜센던스'(Transcendence, 2014). 이 영화는 흥행에도 실패했고 평가도 별로 좋지 않지만 흥미 있는 주제를 다룬다. 뎁은 살날이 한 달 밖에 남지 않았는데 뎁의 아내 레베카 홀이 뎁의 의식을 양자컴퓨터에 업로드 하기로 한다. 업로드 된 의식이 인터넷에 접속되면 무한한 지식을 흡수할 수 있다. 그 지식으로 뎁은 자신의 새로운 육체를 만들어 내기까지 한다. 실제로 양자컴퓨터를 사용하면 에너지 형태의 존재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한다. 가장 순수한 형태의 의식이다. 얼마 전에 하버드의 물리학자들이 빛을 허공에 멈추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는데 이 현상을 이용하면 인간의 의식을 순수한 에너지 형태로 만들 수 있다(카쿠).


불치병에 걸린 백만장자 벤 킹슬리가 자신의 의식을 젊고 건강한 라이언 레이놀즈의 몸에 옮겨 심는다는 '셀프/리스'(Self/less, 2015)와 코미디지만 아담 샌들러의 '코블러'(The Cobbler, 2014)도 유사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사진=영화 '뷰티 인사이드' 스틸컷


국내 영화로는 신예 백종열 감독과 '광해'(2012)의 중전 역 한효주의 '뷰티 인사이드'(2015)가 있다. 우진이라는 한 남자가 123명의 각각 다른 모습으로 변한다는 매우 인상적인 설정이다. 한 사람의 모습으로 여러 의식을 표현하는 경우는 많지만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의 의식으로 여러 모습을 표현하는 경우는 이 영화가 처음인 것 같다. 당연하지만 영화를 보면서 상당히 헛갈렸다. 이 영화는 폭스2000이 리메이크 하기로 결정되었다. 한효주 역할은 '왕좌의 게임'(Game of Thrones, 2011~2018)에서 '드래곤 마더' 칼리시(Daenerys Targaryen)인 에밀리아 클라크가 맡는다.


뷰티 인사이드. 우리는 흔히 ‘내면의 아름다움’을 말한다. 그런데 내면인 우리의 의식은 모습이 없는데 어떻게 그 아름다움을 말할 수 있을까? 11월 9일자로 나간 '로마의 휴일과 마법의 공주 오드리 헵번'을 읽고 헵번이 내면과 바깥이 똑같이 아름다운 분이었다는 평도 있었고, '진짜 아름다움' 을 논하기에는 워낙 예쁘지 않으냐는 평도 있었다. 의식의 아름다움을 대개 평균 이상의 외모를 가진 영화배우를 통해서 표현하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할지 할리우드 판 뷰티 인사이드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제로베이스원 '일본 콘서트도 파이팅!'
비비업, 한국적 요소 담긴 노래 'House Party'
대환장 코미디 '퍼스트라이드' 출발
게임 원작으로 탄생한 숏폼 드라마 '마이 리틀 셰프'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박봄, 뜬금 '양현석 고소'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가을야구 현장' 한화-삼성, 운명의 PO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