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영화시장 부진..8월 극장 관객, 7월보다 첫 감소(134만명↓)

발행:
전형화 기자
사진

8월 극장 매출액과 관객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 60% 가량 회복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8월 관객수가 지난 7월 관객수보다 줄어 여름 극장가가 최대 성수기인데도 불구하고 상황이 좋지 않았다는 게 확인됐다.


20일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한국영화산업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극장 전체 매출액은 1523억 원으로 2019년의 72.9% 수준을 회복했다. 8월 전체 관객 수는 1495만 명으로 2019년의 60.3% 수준이었다. 관객수에 비해 매출액이 늘어난 건, 극장요금이 인상됐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8월 전체 매출액은 2090억 원으로 2013~2019년까지 8년 연속으로 8월 전체 매출액은 2000억 원을 상회했다. 2019년 8월 전체 관객 수는 2479만 명이다.


연중 최대 성수기 여름 시즌을 맞아 코로나19 사태로 개봉이 연기되었던 한국 대작 영화가 7월 하순부터 8월 초순까지 일주일 간격으로 연달아 개봉하면서 매출액과 관객 수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 8월 전체 매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99.4%(759억 원) 증가했고,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8월 대비로는 27.1%(567억 원) 감소했다. 8월 전체 관객 수는 전년 동월 대비 89.0%(704만 명) 증가했고, 2019년 8월 대비로는 39.7%(984만 명) 감소했다.


개봉을 미루던 영화들이 연달아 개봉했으나, 8월 전체 매출액과 관객 수는 오히려 전월 대비 감소했다. 7월부터 대작 영화 개봉이 집중되며, 8월 매출액과 관객 수는 전년 동월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전월 대비로는 오히려 감소한 것. 8월 전체 매출액과 관객 수 모두 7월 대비 감소한 것은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이 가동을 시작한 2004년 이래로 처음이다. 8월 전체 매출액은 전월 대비 10.7%(182억 원), 전체 관객 수는 전월 대비 8.2%(134만 명) 감소했다. 2012~2019년 7~8월 개봉작 중에는 '천만' 영화와 함께 5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한 소위 '중박' 영화가 있었지만, 올해 7~8월 개봉작 중 '천만' 영화는 없었고, 5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한 영화는 한국과 외국을 통틀어 '한산: 용의 출현' 뿐이었다.


통상 7월 하순부터 개봉하는 한국 대작 영화의 영향으로 8월 한국영화 매출액과 관객 수가 7월과 비교해 큰 폭으로 증가하는데, 올해는 여름 성수기 개봉한 한국 대작 영화가 기대한 만큼의 성적을 거두지 못하면서 증가폭이 크지 않았다. 8월 한국영화 매출액은 1234억 원으로 전월 대비 87.0%(574억 원), 전년 동월 대비 111.7%(651억 원) 증가했고, 2019년 8월 대비로는 18.8%(286억 원) 감소했다. 8월 한국영화 관객 수는 1214만 명으로 전월 대비 91.0%(578만 명), 전년 동월 대비 101.6%(612만 명) 증가했고, 2019년 8월과 비교해서는 32.5%(584만 명) 줄었다.


8월 외국영화 매출액은 289억 원으로 전월 대비 72.3%(756억 원) 감소했는데, 7월 대비 매출액 감소율로는 2004년 이래 가장 큰 감소폭이다. 국내 관객이 선호하는 마블 영화를 비롯한 할리우드 프랜차이즈 영화가 7월에 개봉하는 영향으로 외국영화는 7월 대비 8월 매출액이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왔는데, 특히 올해는 8월에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개봉이 없어 감소폭이 역대 가장 컸다. 8월 외국영화 매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로 59.8%(108억 원) 증가했고, 2019년 8월 대비로는 49.3%(281억 원) 줄었다. 8월 외국영화 관객 수는 281만 명으로 전월 대비 71.7%(712만 명) 감소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48.7%(92만 명) 증가했다. 2019년 8월과 비교해서는 58.7%(400만 명) 줄었다.


한편 2022년 1~8월 전체 누적 매출액은 775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4.3%(4,446억 원) 증가했고, 전체 누적 관객 수는 7619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8.2%(4127만 명) 늘었다. 5월 '범죄도시 2'를 시작으로 여름 성수기 대작 영화까지 기대작들이 연이어 개봉한 덕분에 누적 매출액과 관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19년 1~8월 전체 누적 매출액의 58.6%까지 회복했다. 2022년 1~8월 한국영화 누적 매출액은 414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5.8%(3015억 원) 증가했고, 한국영화 누적 관객 수는 4096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2.4%(2,900만 명) 늘었다. 2022년 1~8월 외국영화 누적 매출액은 360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8%(1,431억 원) 증가했고, 외국영화 누적 관객 수는 3523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5%(1,228만 명) 늘었다.


'한산: 용의 출현'이 486억 원(관객 수 480만 명)으로 8월 흥행 순위 1위에 올랐다. '한산: 용의 출현'은 8월까지 720억 원(누적 관객 수 707만 명)의 누적 매출액을 기록했고, 8월 29일에 국내 OTT 플랫폼인 쿠팡플레이에서 독점 공개했다. 400억 원(관객 수 388만 명)의 매출을 기록한 '헌트'가 2위였다. '비상선언'은 207억 원(203만 명)의 매출로 3위였고, '비상선언' 역시 9월 7일 쿠팡플레이에서 독점 공개했다. 여름 시즌 대작 영화 두 편이 IPTV와 인터넷 VOD 서비스를 건너뛰고 OTT 독점 공개를 택함에 따라 기존 홀드백 관행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탑건: 매버릭'이 104억 원(관객 수 95만 명)으로 4위였고, 8월까지 856억 원(누적 관객 수 800만 명)의 누적 매출액을 기록했다. 71억 원(관객 수 74만 명)의 매출로 '미니언즈2'가 5위에 자리했고, 8월까지 218억 원(누적 관객 수 225만 명)의 누적 매출액을 기록했다. 여름 성수기와 추석 연휴 사이의 틈새 시기에 개봉한 '육사오(6/45)'가 68억 원(관객 수 68만 명)으로 6위였다. 코미디 영화 '육사오'는 9월 6일까지 122억 원(누적 관객 수 122만 명)의 누적 매출액을 기록했다.


독립예술영화 흥행 순위에서는 의학도의 길을 거부하고, 포토그래퍼와 칼럼리스트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페미니스트 여성의 연애담을 그린 멜로드라마 '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가 1억 5859만 원(관객 수 1만 5705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


전형화 기자 aoi@mtstarnews.com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무더위 날릴 '전지적 독자 시점'
온유, 정규 2집 앨범으로 솔로 컴백
차은우 '언제나 눈부신 비주얼'
새롭게 시작하는 JTBC 금요시리즈 '착한사나이'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박나래만 불참했다..김준호♥김지민 결혼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KBO 올스타 휴식기... 키움, 감독-단장 동반 경질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