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음저협, "한선교 엉터리"→"겸허히 수용" '비굴모드' 전환..왜?

발행:
문완식 기자
관계자 '모드 전환'에 "밝히기 곤란한 부분" 말 아껴
한음저협이 오전에 내놓은 보도자료와 오후에 내놓은 보도자료.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한음저협이 오전에 내놓은 보도자료와 오후에 내놓은 보도자료.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사단법인 한국음악저작권협회(회장 윤명선, 이하 한음저협)가 새누리당 한선교 의원의 국감자료가 잘못됐다고 밝힌 지 불과 8시간 만에 '모드 전환', "지적을 겸허히 수용한다"고 밝혀 궁금증을 자아낸다.


한음저협은 22일 오전 한선교 의원이 지난 18일 국정감사 관련 자료로 배포한 협회 복지비 지출 관련 자료가 왜곡되고 부풀려졌다며 해명했다.


한음저협은 '한음저협, 소송 없었다면 70억 저작권료 징수 못할뻔...'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에 '선교 의원 직원 복지 펑펑? 수치 부풀려져... 160억은 협회 전체 1년 운영비용..', '여 및 복리 후생비는 고정적 임금이자 4대보험 등... 월세보조금은 주거지에서 근무지가 60km이상 직원에만 월 30만원씩 보전... 대부분의 내용 왜곡되고 부풀려져...', '협회는 피감기관이 아님에도 왜 국감에서 거론되어야 하는지 이해 못해...'라는 부제까지 달아 반박했다.


다음은 이날 오전 보도자료 전문이다.


사단법인 한국음악저작권협회(회장 윤명선, 이하 한음저협)가 한선교 의원이 지난 18일 국정감사 관련 자료로 배포한 협회 복지비 지출 관련 자료가 왜곡되고 부풀려졌다고 해명했다.


또한 심지어 협회는 문체부 산하기관도 아니며 국정감사 피감기관도 아닌데 왜 국정감사에서 왜 국정감사에서 협회가 논의 되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전했다.


한음저협은 "한선교 의원이 공연사용료 소송 수익이 2013년 165억3700만원, 2014년 168억9400만원, 2015년 7월 현재 91억4500만원이라고 했으나, 협회 전체 1년 운영비용(일반회계)이 약 160억원 가량이다”며,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형사소송을 통해 얻은 수익 원금은 약55억 9천만원으로 소송이 없었다면 저작권료 55억 9천만원은 미징수 되었을 금액이며, 소송 가산금(30%)으로 얻은 수익은 약 13억 5천만원으로 이 또한 저작권자들에게 분배되는 예산(신탁회계)으로 책정되어 협회 운영과는 사실상 무관한 비용인데 이를 복지비로 사용했다는 주장은 억측이다"고 설명했다.


한음저협은 또, 직원상여금 및 직원복리 후생비와 관련해 "19억원 복리 후생비는 고정적 임금에 포함되는 인건비로 소송 수익과는 전혀 관련이 없으며, 그중 약 30% 가까운 금액인 5억 2천만원은 4대보험에 지출되는 금액이고, 기사에 언급된 수능 응시자녀상품권 및 정년 퇴직자 기념품 구입비용은 약 550만원으로 기사에서 제시한 금액 3억 5510만원의 1.5% 밖에 안 되는 미미한 수준이다"고 밝혔다.


월세보조금과 스마트패드 등에 대해서는 "지부 발령으로 인해 거주지에서 근무지가 60km이상 되는 직원에 한해 월 30만원의 월세보조금을 약 15명에게 지급하였으며, 스마트패드도 일반회계의 긴축재정을 실시해 마련한 사업비로 스마트오피스 환경 구축 차원에서 실시한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한음저협측은 "협회는 한 의원이 말한 대로 더 많은 저작권료가 저작권자에게 전달되도록 하기위해 세계 4위 수준의 낮은 수수료율을 달성했고, 1400억 전체 회계내역을 홈페이지 공개하였으며, 300억 정기예금 예치은행 공개 입찰을 통한 회원 혜택 강화 등 새로운 협회로 거듭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나가고 있는 현실에서 협회와 관련해 왜곡된 내용이 보도되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며, 잘못된 정보가 더 확산되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왜곡', '매우 유감', '잘못된 정보' 등 단어로 한선교 의원에게 반발했다.


하지만 8시간이 지난 오후 5시께 한음저협은 오전의 격앙된 분위기와 사뭇 다른 보도자료를 내놓았다.


보도자료 제목 자체도 '한음저협, 한선교 의원 지적사항 겸허하게 받아들일 것...

음악저작권자 권익 확대를 위해 노력....'이었다.


다음은 오후에 발표된 보도자료 전문이다.


사단법인 한국음악저작권협회(회장 윤명선, 이하 한음저협)가 한선교 의원이 지난 18일 국정감사에서 협회 문제점으로 지적한 수능응시 직원 자녀 상품권 구입 및 정년 퇴직자 행운의 열쇠 지급 등의 내용을 겸허하게 받아드려 시정하겠다고 밝혔다.


한음저협은 "한선교 의원이 지적한 형사 소송을 통해 얻은 수익은 전부 저작권자들에게 분배되는 사용료로 귀속되는 것이다. 그 비용이 직원 복지비 등에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한선교 의원이 말한 대로 협회 운영비 중 일부는 한선교 의원이 지적한 내용과 부합하는 것이 사실이니 이런 내용은 앞으로 여타 다른 회사나 단체들과 동일한 수준의 직원 복지를 실시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한음저협은 또 "한선교 의원이 국정감사를 통해 노래연습장 등 영세사업자들이 격고 있는 고초를 감안하여, 협회가 홍보 및 계도를 통해 저작권 사용료를 징수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우리 협회가 제출한 자료를 검토 중 다소 오해의 소지가 있었던 것 같다"며 "추후에도 협회가 더 많은 홍보나 교육을 통해 이용자들로 하여금 저작권 보호 의식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겠으며, 이를 통해 저작권자들의 권익도 함께 향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오전의 '왜곡', '매우 유감', '잘못된 정보' 등은 어느새 '겸허하게 받아드려 시정', '다소 오해의 소지', '최선을 다하겠다' 등으로 바뀌었다.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이와 관련 한음저협 관계자는 스타뉴스에 "밝히기 곤란한 부분"이라고 말을 아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박보검 '전독시 보러 왔어요'
BTS 제이홉 '새앨범 기대하세요!'
아이브 '파리에서 만나요!'
아이유 '빛나는 매력'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다시 웃을 수 있길" 수해 이웃 돕기 ★기부 릴레이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손-김-이' 유럽 3총사 이적설 본격 점화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