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 올여름& 스쿠버 다이빙 ① 수중 적응하기

발행:
채준 기자
[송보은의 도전 Diving]
사진


올여름에도 뜨거운 태양이 한반도를 달굴 것으로 전망된다. 여름을 더욱 즐겁게 보내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해양스포츠는 기본이다. 최근 국내에서는 스쿠버다이빙 인구가 확대되고 있다. 매년 4월부터는 국내 바다에서 스쿠버다이빙이 시작된다. 겨울에는 동남아는 물론 멀리 인도양과 대서양까지 진출하는 다이버들도 있다. 올여름 다이버가 되고 싶은 여러분들을 위해 스타뉴스가 연기자 송보은과 함께 5회에 걸쳐 스쿠버 다이빙에 도전했다.


스쿠버 다이빙은 항상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는 해양레저 스포츠다. 또 홀로 할 수 없으며 짝(짝을지어, buddy)과 함게 움직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안전 수칙만 지킨다면 어떤 육상스포츠보다 안전하고 즐거운 스포츠다.


이번 도전은 박진만 마린파크 다이브센터 대표의 도움을 받아 PADI(the Professional Association of Diving Instructors) '오픈워터 다이버코스'에 준해 진행한다 .이번 과정에서는 제한 수역에서의 스쿠버다이빙 교욱에 한정한다(이론수업은 이미 마친 것을 전제로 진행).



수중 적응하기




①장비조립, 준비, 안전점검

BCD(부력조절장치) 호흡기(레귤레이터) 슈트, 핀, 마스크, 웨이트밸트, 공기통, 스노클을 조립해 다이빙을 활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생명을 담보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이다. 버디(다이빙을 같이 할 짝)간 B(BCD)-W(웨이트벨트)-R(해체장치)-A(공기)-F(파이널오케이) 순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②수중에서 호흡하기

처음부터 깊게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얕은 물에서 호흡을 적응해 본다. 공기중의 호흡에 비해서 수중 호흡은 저항이 있고 답답한 느낌이 있다. 필히 깊은 물에 들어가기 전에 적응 훈련이 필요하다.


③스노클 레귤레이터, 레귤레이터 스노클 교환하기

수면에 있을때는 항상 스노클을 착용하게 된다. 수중에 들어가기 직전 호흡기로 바꿔물고 호흡기 안에 있는 물을 배출하는 훈련이다.


④레귤레이터 되찾고 물빼기 (호흡기 되찾기, 호흡기 물빼기)

다이빙 도중에 호흡기가 입에서 빠져나갈 경우가 있다. 이 상태를 대비하기 위해서 호흡기 되찾기와 물빼기 훈련을 실시한다. 완벽하게 할때까지 훈련은 계속되어야 한다.


⑤마스크 물빼기

마스크 물빼기는 항시 일어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수중에서 반만 물찬 마스크 물 빼기를 연습한다. 물빼기 방법은 마스크 하단부를 살짝 들고 시선은 하늘을 향한다. 이때 코로 숨을 불어내면서 마스크 안에 있는 물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⑥보조호흡기 사용하기

비상시 버디나 본인이 공기 고갈 또는 주호흡기 고장이 일어날 경우 상대방의 보조 호흡기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상승할 수 있다.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훈련을 통해 미연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훈련으로 볼 수 있다.


⑦수신호 체크 잔압체크

물속에서는 대화가 불가능하다. 사전에 육상에서 수신호를 익혀 물속에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수신호는 글로벌 다이버 공통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고가 장비인 풀페이스 마스크(통신이 되는)도 있지만 일반 다이버들은 많이 사용하지 않고 있다. 대부분 산업 다이버들이 활용하고 있다. 잔압 체크는 수중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의 양을 확인할 때 수시로 쓰인다. 항상 체크할 수 있도록 버릇이 드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무더위 날릴 '전지적 독자 시점'
온유, 정규 2집 앨범으로 솔로 컴백
차은우 '언제나 눈부신 비주얼'
새롭게 시작하는 JTBC 금요시리즈 '착한사나이'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이 힘든 결혼을 두 번이나"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KBO 올스타 휴식기... 키움, 감독-단장 동반 경질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