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폭력시위 옹호' 실링, HOF 입성 실패... 2021 헌액자 '제로'

발행:
김동영 기자
명예의 전당 입성에 실패한 커트 실링. /AFPBBNews=뉴스1
명예의 전당 입성에 실패한 커트 실링. /AFPBBNews=뉴스1

메이저리그에서 8년 만에 명예의 전당 헌액자가 나오지 않았다. 후보자 가운데 누구도 기준인 75% 득표를 하지 못했다.


전미야구기자협회(BBWAA)는 27일(한국시간) "2021년 명예의 전당 헌액자는 없다"라고 공식 발표했다. 헌액자 0명은 역대 8번째다.


명예의 전당 헌액자는 BBWAA 기본적으로 기자단 투표를 통해 결정된다. 75% 이상 득표해야 한다. 그러나 이번에는 한 명도 이 기준을 넘지 못했다.


커트 실링이 가장 높았는데 71.1%였다. 401표 가운데 285표를 얻었다. 올해가 9번째 도전인데 이번에도 뜻을 이루지 못했다.


16표만 더 받았다면 명예의 전당으로 갈 수 있었다. 그러나 '입'이 문제였다. 은퇴 후 각종 망언을 하면서 인심을 잃었다.


최근에도 미국 국회 폭력 시위대를 옹호하는 발언을 하면서 문제가 됐다. 실링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자이며, 폭력 시위 또한 트럼프를 지지하는 극우 단체에서 벌였다.


'약물 스타' 배리 본즈와 로저 클레멘스 또한 이번에도 헌액에 실패했다. 각각 61.8%(248표)와 61.6%(247표)를 얻었고, 75%에 미치지 못했다. 나란히 9년 연속 실패다. 새미 소사(17.0%)도 마찬가지다.


본즈-클레멘스-소사 모두 기록만 보면 들어가지 못할 이유가 없다. 이 기록이 약물에 얼룩졌고, 평가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꾸준히 득표율이 오르고는 있지만, 내년에도 실패하면 끝이다.


스캇 롤렌(52.9%), 오마 비즈켈(49.1%), 빌리 와그너(46.4%), 토드 헬튼(44.9%), 게리 셰필드(40.6%), 앤드류 존스(33.9%), 제프 켄트(32.4%), 매니 라미레즈(28.2%) 등 쟁쟁한 스타들도 입성에 실패했다.


한편 명예의 전당은 메이저리그에서 10년 이상 뛴 선수가 은퇴 후 5년이 지나면 후보가 된다. 한 번이라도 득표율이 5% 미만일 경우 후보 자격이 박탈되고, 10년간 75%를 넘지 못해도 후보에서 빠진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300만 앞둔 '귀멸의 칼날 : 무한성편' 日 성우 내한
진선규 '시크한 매력'
'13회 부코페 개막합니다'
'살인자 리포트, 믿고 보세요'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10주년 AAA 2025' 최정상 아티스트 한자리에!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홍명보호 악재' 황인범 부상, 9월 A매치 불참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