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K핸드볼 재도약 해법 찾자' 곽노정 핸드볼협회장, 전국 핸드볼인들과 함께 워크숍 가져

발행:
박수진 기자
경청하고 있는 곽노정 회장. /사진=대한핸드볼협회
경청하고 있는 곽노정 회장. /사진=대한핸드볼협회
해법 모색 토론회 단체사진. /사진=대한핸드볼협회

곽노정(60) 대한핸드볼협회장이 'K핸드볼 중흥'을 주제로 전국 시도 핸드볼협회장들과 워크숍을 진행했다고 협회가 29일 밝혔다.


협회에 따르면 28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워크숍에는 곽 협회장을 비롯해 서울, 경기, 부산 등 전국 15개 시도협회장과 전현직 핸드볼 선수 및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대표적인 올림픽 효자 종목이던 한국 핸드볼은 지난 수년간 국제대회 성적이 내리막길을 걷고, 현재 전국 등록선수 수가 1,618명으로, 정점이었던 2011년(2,412명) 대비 33% 감소하는 등 자칫하면 종목 자체를 건전하게 유지하기 힘든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고 이날 참석자들은 진단했다.


다만, 올해 핸드볼 H리그가 전 시즌 대비 관중수가 41% 증가하고, 지난 6월 충북 청주에서 열린 국가대표 한일전에서 남녀 동반 승리하는 등 최근 들어 반등하는 기반 또한 다져진 것으로 평가했다.


참석자들은 이러한 붐업 흐름에 맞춰 생태계를 재건(Revitalization)해 한국 핸드볼의 재도약을 도모해야 할 시점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에 따라, 협회는 핸드볼인들의 생애주기별 커리어 안정성을 높이는 방안부터 우선 추진하기로 했다. 직업인으로서 미래 안정성이 담보돼야 더 많은 선수가 핸드볼에 유입되고 이탈을 막을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생애주기를 고교/대학 졸업, 선수 활동 및 은퇴, 중년기 커리어 전환 시점 등으로 세분하여 시기별로 선수가 택할 선택지를 늘려 가기로 했다. 예컨대 연령대별 해외 진출 및 지도자/심판/분석원 전향 활성화, 시도협회 주도 전국 핸드볼클럽 등 학원 네트워크 확대 등이 중점 추진 과제로 논의됐다.


실제 최근 경희대 이민준이 국내 실업팀을 거치지 않고 유럽 명문 팀 입단을 앞두고 있고, 일본 청소년 여자대표팀 사령탑을 맡고 있는 장소희 감독 등 사례를 활용해 다양한 연령대별로 해외진출을 늘려갈 수 있다고 협회는 보고 있다.


또, 감독 선임 등 창단작업을 진행 중인 태백시청 남자 핸드볼팀이 내년 시즌 H리그에 적기 진입하도록 지원하면서 실업팀 수를 확대하는 데도 각 시도가 힘을 합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에서 각광받는 김온아, 박하얀과 같이 운동능력과 끼를 겸비한 핸드볼 선수들이 엔터테인먼트 분야로 진출하도록 돕는 것도 고려할 만한 옵션이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SK하이닉스 대표이사를 겸하고 있는 곽노정 협회장은 이날 "반도체 기술력과 마찬가지로 K핸드볼의 경쟁력을 높이는 주체는 결국 사람"이라며, "잠재력을 보유한 인재들이 미래에 대한 걱정 없이 핸드볼에 도전할 수 있도록 전국 체육단체는 물론 정부, 지자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살인자 리포트, 믿고 보세요'
새 선수들과 더 강력해진 FC슈팅스타
베이비몬스터 '북미투어 출발!'
방효린 '깜찍 애마'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10주년 AAA 2025' 최정상 아티스트 한자리에!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홍명보호 악재' 황인범 부상, 9월 A매치 불참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