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프로야구 선수들을 향한 도 넘은 비난에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회장 양현종, 이하 '선수협회')가 호소를 넘어 강경 대응을 선언했다.
선수협은 4일 공식 자료를 통해 "최근 프로야구선수 SNS에 관한 보도들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실제 SNS 상에서 발생하고 있는 피해 사례의 수위가 준 형사범죄 수준에까지 이르는 등 훨씬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선수협은 향후 피해 선수들을 대신해 법적 절차를 대리 진행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삼성 라이온즈 외국인 타자 르윈 디아즈(29)가 대표적인 사례다. 이번 시즌 126경기에 나서 타율 0.298 43홈런 131타점으로 뛰어난 활약을 펼치고 있는 디아즈는 최근 본인의 SNS에 악성 댓글로 인한 피해를 호소했다.
디아즈는 "한국에서 받은 사랑과 애정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저는 항상 여러분 모두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제 가족에게 해를 끼치려는 행동은 용납할 수 없다. 제 아내는 해를 입을 수도 있다는협박을 받았고, 제 반려견들까지 독살하겠다는 위협을 받았다. 저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고, 참지 않겠다"고 분노했다.
4일 선수협에 따르면 선수협 역시 지난 8월 20일부터 8월 24일까지 5일간 국내 프로야구선수들을 대상으로 SNS 피해 실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프로야구선수 SNS 피해에 대한 현재 상황을 정확히 가늠하고 이에 대한 선수협회 차원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취지로 진행됐으며, 총 163명의 선수가 참여했다.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피해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발생하고 있었다. 댓글이나 DM의 경우가 61%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가족 및 지인 계정에도 12%를 나타내는 등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뤄지는 피해 사례는 전체 중 73%에 육박했다. 피해 발생 시기는 응원 구단이 경기에서 지거나 선수가 실책을 범한 직후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56%) 특정 상황을 가리지 않고 시즌 내내 이어진다는 응답도 15%에 달했다.
피해 대상은 선수 본인(49%)은 물론 부모님(31%)이나 배우자 및 여자친구(13%)에게도 무차별적으로 이뤄지고 있었으며 가해 유형은 경기력 비난(39%) 외에도 가족이나 지인을 대상으로 비방하는 경우(29%)도 많았는데 특히 이 중 살해 협박, 성희롱, 고인(가족) 모독, 스토킹·주거 침입 등 형사범죄에 해당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어 임계치를 이미 넘어서고 있다고 선수협회는 판단하고 있다.
SNS의 피해 사례는 선수들에게 정신적 스트레스로 작용(36%)하고 있었으며, 이는 경기력 저하(14%), 수면·식욕 저하(11%)로 이어지기도 하고 특히 이 중 은퇴나 이적까지 고려하는 사례도 4%에 달해 SNS 피해는 프로야구선수 커리어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이에 반해 선수들은 이런 심각한 상황 속에서도 무시·감수(39%), 차단·댓글 신고(28%), 댓글·DM 제한 등 대부분 소극적인 대응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피해 선수 중 과반이 넘는 선수(55%)들이 선수협회 차원의 대응이나 도움을 요청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선수협은 지난 8월 20일 프로야구선수를 향한 악성 댓글을 자제하고 건강한 응원문화를 조성해 달라고 읍소 드리는 형태의 호소문을 발표한 바 있지만 이후에도 프로야구선수들의 SNS에서는 여전히 피해가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이번 조사 결과,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안으로 곪고 있는 악성 사례들은 상식선마저 뛰어넘고 있어 선수협회는 이에 대해 강경하고 단호하게 대처해 나갈 계획이다.
선수협은 "현재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할 경우, SNS 악용 사례는 더욱 고도화되고 광범위하게 확산될 위험성이 높으며, 이런 행위를 벌이는 이들은 더 이상 프로야구 팬이 아닌, 프로야구 팬을 사칭한 준 범죄자로 판단, 오히려 진정한 프로야구 팬들까지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강조헀다.
이에 선수협은 향후 발생하는 비상식적인 악성 사례들은 'SNS 상에서 이뤄지는 사이버 테러'로 규정하고 이에 대해서는 무관용의 원칙을 천명, 협회 차원에서 강경하게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이와 관련한 실효적이고 현실적인 대응으로는 선수협회가 피해 선수들을 대리해 법적 절차(형사고소·법적소송 등)를 진행하는 형태도 고려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SNS 피해 발생 상황에 대한 프로토콜 및 가이드라인을 제작해 선수단에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도 병행해 나갈 계획이다.
선수협회 장동철 사무총장은 "SNS 등에서 차마 입에 담지도 못할 비상식적인 언어폭력이 발생하고 있지만 문제의 발언이나 상대의 프로필을 캡처하는 등 증거 수집을 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전체의 50%를 넘는 상황이다. SNS 상에서 불미스러운 일이 벌어졌을 때는 무엇보다도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선수들에게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장 사무총장은 "이런 내용들을 아우르는 교육 자료를 제작하고 전체 선수단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교육을 실시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