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인 3쿠션의 '살아있는 전설' 다니엘 산체스(51·웰컴저축은행)가 프로당구 통산 2승에 성공했다.
산체스는 11일 강원도 정선군 하이원리조트 그랜드호텔 컨벤션홀에서 열린 프로당구 2025~2026시즌 7차 투어 '국민의 행복쉼터 하이원리조트 PBA-LPBA 챔피언십' PBA 결승전에서 마민껌(베트남·NH농협카드)을 상대로 세트스코어 4-2(15-6, 15-4, 7-15, 15-14, 14-15, 15-4)로 승리하고 정상을 밟았다.
이로써 산체스는 지난 시즌 3차 투어(에스와이 바자르 하노이 오픈) 이후 1년 2개월(442일)만에 PBA 왕좌에 복귀했다. 우승 상금 1억원을 더한 산체스는 종전 7위서 시즌 랭킹 1위(1억8,150만원·237,500점)로 점프했고, 누적 상금 3억원(3억200만원)을 돌파해 누적 상금랭킹 10위로 올라섰다.
프레드릭 쿠드롱(벨기에), 딕 야스퍼스(네덜란드), 토브욘 브롬달(스웨덴)과 함께 3쿠션 4대 천왕으로 불렸던 산체스는 2023~2024시즌 화려했던 아마추어 무대를 뒤로하고 전격 프로무대(PBA)에 도전장을 던졌으나 달라진 환경과 경기 룰 등에 애를 먹었다. 그러나 곧바로 지난 시즌(2024~2025시즌) 3차 투어(에스와이 바자르 하노이 오픈) 정상에 오르며 절반의 적응을 마친 듯 보였고, 이번 시즌에는 7개 투어 가운데 한 차례 준결승, 2차례 결승전에 진출하는 등 상승 곡선을 탔다. 마침내 이번 대회 우승을 차지하며 '스페인 전설'의 귀환을 알렸다.
이번 결승전 역시 '정석' 그 자체로 불리는 산체스의 경기력이 돋보였다. 후공으로 나선 산체스는 1이닝부터 뱅크샷 두 차례를 포함해 하이런 7점으로 7-1 리드한 데 이어, 4이닝에서 남은 6득점을 추가하며 15-6으로 기선을 잡았다. 2세트서도 4-4로 팽팽하던 5이닝 공격기회를 하이런 11점으로 연결하며 세트스코어 2-0으로 빠르게 앞서갔다. 두 세트를 끝내는 데 단 9이닝을 소요했다. 애버리지는 3.333.
베트남의 유일한 챔피언인 마민껌도 쉽게 물러서지 않았다. 3세트 들어 앞선 2이닝은 산체스가 7-3으로 리드했으나 이후 4이닝 연속 공타로 돌아섰다. 그 사이 마민껌이 4이닝 2득점 추가를 시작으로 공타 없이 3-4-3득점을 채워 15-7로 한 세트를 만회했다.
4~5세트는 두 선수가 사이좋게 나눠가졌다. 실수 한 번이 세트의 승패를 갈랐다. 두 세트 모두 마민껌이 먼저 14점에 도달했으나 결과는 달랐다. 4세트에선 매치포인트를 성공시키지 못한 마민껌의 실수를 틈타 산체스가 15-14(6이닝)로 마무리했다. 5세트에선 마민껌이 실수를 범한 후, 공격권을 받은 산체스가 또 한 번 실수하면서 마민껌이 마지막 득점을 채워 15-14(7이닝)로 승리했다.
산체스는 더 이상 추격을 허용하지 않았다. 행운까지 따랐다. 이번에도 6이닝 만에 승부를 결정했다. 초구를 6득점으로 연결한 산체스는 다음 이닝에서도 6득점을 따내며 단숨에 12-2로 앞섰고, 3이닝에서 2득점을 추가해 14-3, 우승컵 앞으로 다가섰다. 4~5이닝 공타로 숨을 고른 산체스는 6이닝 마지막 비껴치기 대회전을 정확하게 성공하며 15-4 우승을 완성했다.
PBA에 따르면 우승 직후 산체스는 "우승할 수 있어서 기쁘다. 이번 시즌 2차례 준우승 끝에 드디어 우승을 했다. PBA에서의 첫 시즌과 지금을 비교하면 굉장히 발전했다고 느낀다"며 "당시에는 우승하는 게 이렇게 힘들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다. PBA에는 강한 선수들이 많다.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적응하고, 이렇게 큰 무대에서 우승해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스스로를 돌아보게 만든 PBA 투어 무대였다. 산체스는 PBA 투어 데뷔 시즌 당시를 떠올리며 "당시 나는 우승과 거리가 먼 선수였다. 2023~2024시즌은 내 커리어에서 최악에 가까웠다. 상금 랭킹 67위로 시즌을 마감했는데, 16~17살 이후로 처음 받은 성적이었다. 끔찍한 시즌이었다"며 "그래도 2번째 시즌부터 한국 무대에 점차 익숙해지며 3차 투어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그때부터 테이블에만 적응하면 언제든지 이길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 뿐만 아니라 PBA에서 뛰는 모든 뛰어난 선수들이 테이블에 적응만 한다면 언제든 우승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 생활 3년차인 산체스는 "100% 적응한 것은 아니지만 거기에 가까워지고 있다(웃음). 더 적응을 해야 한다. 나는 한국을 좋아한다. 한국의 음식, 당구, 삶까지 굉장히 만족하고 있다. 지금보다 더 적응을 한다면, 앞으로도 더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생활적인 부분에서 적응을 마쳤지만, PBA 시스템에는 아직 더 적응을 해야 한다. 내가 UMB(세계캐롬연맹)에서 활동할 때는 뱅크샷을 치지 않았다. 하지만 PBA에서 뱅크샷은 정말 중요한 시스템이다. 이번 시즌 나의 뱅크샷 비율이 18% 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PBA 선수들 중 하위권 기록일 것이다. 내가 뱅크샷 시스템에 더 적응한다면, 더 좋은 성적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 나는 배움에 있어서는 젊은 나이다(웃음). 내 스스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믿는다"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PBA 투어에서 앞으로의 목표는 무엇일까. "아마추어(UMB)에서 활동할 때 대회 그랜드 애버리지 신기록을 세운 적이 있다. 하지만 지금은 기록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며 "기록보다는 승리와 승리하는 과정이 훨씬 중요하다. 하이런, 애버리지 같은 기록에 연연하지 않고, 경기 내용에 더 신경 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회 한 경기 최고 애버리지를 기록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웰컴톱랭킹'(상금 400만원)은 64강서 김현석1을 상대로 애버리지 3.000을 기록한 이충복(하이원리조트)이 수상했다.
시즌 7번째 투어를 마친 PBA는 전용구장으로 복귀한다. 오는 16일부터 경기도 고양시 '고양 킨텍스 PBA 스타디움'에서 '웰컴저축은행 PBA 팀리그 2025~2026' 4라운드를 재개한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