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news

침착맨, "돈벌이" 역풍에 "호들갑 떨지 마" [스타이슈][종합]

발행:
김나라 기자
침착맨 /사진=티빙
침착맨 /사진=티빙

웹툰 작가 출신 유튜버 침착맨(작가명 이말년·본명 이병건)이 다시 보기 채널의 유료화를 예고했다가 취소했으나, 거센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


구독자 수 282만 명을 보유한 대형 유튜버 침착맨은 최근 팬사이트 침하하에 본인의 콘텐츠 다시 보기 채널인 '침착맨 원본 박물' 유료화 뜻을 밝혔다.


침착맨은 "제가 생각한 방향은 '침착맨 원본 박물관' 채널에서 생방송이 막 끝난 원본 영상은 유료 공개로 게시되는데, 가격은 한 달 3000원이다. 일주일이 지난 원본 영상들은 무료 공개로 전환된다. '생방송을 한 지 일주일이 안 지났는데 보고 싶으면 유료(한 달 3000원)로 시청, 생방송을 한 지 일주일이 지난 영상들은 기존대로 시청'이다"라고 설명했다.


유료화 조치 이유에 대해선 "사실 현재 유튜브에서 원본 다시 보기를 서비스하는 채널은 많지 않다. 유료로 서비스하는 채널은 몇 군데 본 적 있다"라며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크게 다시 보기 영상 전용 채널의 부재로 편집 영상과 원본 영상이 혼재되는 것이 난잡해지기 때문에, 편집 영상이 나오기 전에 내용이 소비가 되기 때문에, 라이브 특성상 말실수 등 잔실수가 많을 수 있는데 상시 열어두기 부담스럽기 때문에 정도가 있겠다. 사실 제가 강박적인 성격이 있기에 그동안 생방송 영상들을 되도록이면 거의 다 공개해 놓고 있었다"라고 짚었다.


또한 침착맨은 "편집 영상의 추이는 사실 업로드되고 초반이 가장 중요하다. 조회 수가 붙기 시작해야 알고리즘에 영향을 줘서 소위 말하는 스노볼링이 굴러간다. 때문에 본 채널에 힘을 주려면 생방송 원본 영상의 템포를 본 채널에 맞춰야겠다고 생각했다. 현재는 생방송이 방송 끝나자마자 원본이 공개되어서 1~2주 정도 먼저 노출되어 있다"라면서 "하지만 문제는 너무 오랫동안 생방송 다시 보기를 무료 공개를 해두어서 시청을 막게 되면 회원님들의 불만이 있을 수 있겠다 싶었다"라고 전했다.


더불어 침착맨은 "사실 재밌으면 다 해결되는 문제지요. 다만 채널이라는 게 부침이 있는 거 아니겠냐. 그 안에 파도가 있는 것이고, 그 속에서 계속 더 좋게 되게끔 고민하는 것인데, 시스템적인 걸 건드린다고 재미에 대한 부분을 소홀히 한다고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다. 재미 영역에서도 고민 중이다. 거기에 얹어서 시스템적으로도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 고민하는 것이었다(둘 다 함께 고민 중인 부분이라는 뜻). 방송의 방향도 안 해본 것들을 계속 시도 중이고 계획 중이기도 하다. 물론, 현재 제가 재미없다고 생각한다면 신뢰가 가진 않으시겠지만 이 부분은 제가 결과로 증명해야 하는 숙제겠지요. 사실 영상을 재밌게 만들면 해결되는 거 아니냐? 하면 할 말 없다. 누구나 아는 정답이니까요. 다만 같은 재미에서 좀 더 좋은 결과를 내려고 하는 거라고 봐주시면 좋을 것 같다. 당연히 방송 내용도 재밌게 나올 수 있게 노력하겠다. 생방송 기획 프로그램들도 여러 가지 시도하고 있다"라는 고민을 터놓기도 했다.


그럼에도 반발이 터져나오자 침착맨은 "일주일 유료화가 싫다면 내렸다가 본편 올라갈 때 공개는 어떠신지? 본편과 원본 영상의 템포를 맞추고 싶은데 사실 일주일 유료화는 선택지를 주고 싶어서 넣은 것이었고 이게 기분의 문제로 이어진다면 뺄 수 있다. 물론, 의견을 묻는 것이고 결국엔 제가 판단 후 결정할 것이다. 유료를 하면 일단 의도나 기분의 영역으로 들어가게 되어서 거부감이 있는 듯하다"라고 적극 소통에 나섰다.


하지만 '유료화' 계획 언급만으로 일부 구독자들은 "결국 돈벌이로 생각하는 거 아니냐"라며 극단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이에 침착맨은 "너무 호들갑 떠는 사람이 많은 듯"이라며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침착맨은 다시 보기 콘텐츠를 중단하고 생방송 일주일 뒤 무료 공개 방침으로 선회했다.


한편 침착맨은 작년 5월에도 네티즌들과 설전을 벌인 바 있다.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이사에 대한 해임 반대 탄원서를 낸 사실이 알려지며 대중의 입방아에 오르내린 것.


당시 침착맨은 '열받아서 못 살겠다'라는 제목의 라이브 방송을 진행, "민희진 (전) 대표 해임 반대 탄원서는 내가 낸 게 맞다. 졸렬하게 탄원서는 쓰고 싶은데, 걸리기 싫어서 '이병견으로 썼냐'라고 억측하더라. 탄원서 낼 때 뒤에다가 주민등록증 사본을 붙인다. 억측하지 말라. '이병견'으로 올라갔는지는 저도 모른다. 하이브와 어도어 관계는 모른다. 내가 관계자가 아닌데 어떻게 아느냐. 다만 민 대표와 뉴진스의 시너지 효과가 좋고 돈독해 보였다. 자부심으로 일하는 걸 느껴서 탄원서를 껐던 것이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나한테 해명 요구 좀 하지 말아 달라. 별것도 아닌 거 갖고 며칠 내내 그러는 게 짜증 났다. 제가 한 일이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으면 일침을 해달라. 근데 아무것도 아닌 일로는 호들갑 좀 떨지 않았으면 한다"라고 불쾌감을 표출했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슬라이드

에스파 '나고야에서 만나요'
슈팅스타2, 믿고 보세요
제로베이스원 '아침부터 빛나는 제베원!'
천우희 '깜찍 볼하트'

인기 급상승

핫이슈

연예

유방암 행사, 연예인 '공짜'로 부르고·브랜드엔 '돈' 받고

이슈 보러가기
스포츠

'가을야구 현장' 한화-삼성, 운명의 PO 격돌

이슈 보러가기